디지털 트윈 산업별 활용 사례
1. 제조: 자재절감, 다운타임 최소화
- 제조업에서 디지털 트윈은 생산 공정 시뮬레이션에 주로 사용
- 기계, 제조 도구 및 기타 장치에 연결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제품, 장비 요소, 생산 프로세스 또는 전체 시스템의 가상 표현 구축
- 사물인터넷(IoT) 센서는 각각 위치에서 온도, 모터 속도 등과 같은 실시간 성능 데이터를 기업 클라우드에 공급
- IoT 디지털 트윈은 고급 분석 및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해 복잡한 what-if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고 이를 통해 최적 운영 조건 판별
2. 의료: 태아 심장질환 연구 및 암 치료
- 디지털 트윈 기술로 태아심장VR을 만들어 의대생 교육과 훈련 지원, 임산부 복부와 같은 돔을 프로브로 살펴보면서 정상 심장 박도오가 비정상 심장 박동을 비교 연구
3. 공공/유틸리티: 도시 개발 시행 착오 최소화
- 스페이셜 디지털 트윈 추진: 3D와 4D 데이터로 시가고하해 건물, 지형, 재산 경계 및 유틸리티에 대한 계획을 작성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
4. 소매유통: 스마트 선반, 판촉 최대화
- IoT 지원 선반과 판매 시스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매장 디지털 트윈 구축
- 매장 관리자는 재고를 쉽게 관리하고 다양한 매장 배치 효과 테스트 가능
- 상점 내 디지털 트윈은 RFID 리더, 모션 센서, 스마트 선반이 캡처한 데이터 사용, 고객 움직임과 구매 행동을 분석하고 제품 최적 배치 테스트 가능
- 공급망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전사자원관리(ERP)와 기타 비즈니스 시스템 데이터, 실시간 센서 및 장비 데이터 사용
디지털 트윈 과거/현재/미래 분석, 스마트팩토리 실현 핵심
1. 스마트팩토리 개념
- 제품 기획, 설계, 생산, 유통, 판매 등 제조 전 과정을 최소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생산까지 가능하게 하는 미래형 생산 시스템
- 관리하지 못하던 변동 대응까지도 똑똑하게 수행해주는 자율 생산 체계
2. 디지털 트윈 개념
- 실제 세계에 존재하는 하나의 시스템을 그대로 가상 시계로 옮겨놓은 쌍둥이로 옮겨진 모델이 실제 세계와 연결돼 있어 실제 세계에서 변동이 일어날 때마다 동기화가 이뤄지는 것을 전제로 함
- 디지털 트윈과 동기화된 여러 데이터가 사물간 데이터를 공유하는 초연결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고, 디지털트윈을 통해 다양한 분석과 시뮬레이션 수행
- 타임머신 모델: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해 과거에 있었던 일과 현재는 물론 앞으로 일어날 일까지 예측이 가능한 디지털 트윈
'전자신문 > 2022 전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112_전자신문 (0) | 2022.01.12 |
---|---|
220111_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 (0) | 2022.01.12 |
220110_5G 특화망 구독 서비스 (0) | 2022.01.11 |
220106_전자신문 (0) | 2022.01.11 |
220105_전자신문 (0) | 2022.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