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디지털 트윈의 필요성
- 업무방식의 생산성과 효율성의 혁신, 의사결정 프로세스의 시간 절감과 신뢰도 향상
-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 분석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 입체적으로 표현
- 직관화: 주어진 정보를 복잡한 추론 과정 없이 디지털 세상의 도움으로 정보 또는 지식을 습득
- 동기화: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동기화하여 각기 다른 툴에서 연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 정보의 가치화: 공학적인 가치를 지닌 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한 의사결정에 기여
- 지속가능한 활용성: 실무자가 실제 업무에 지속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활용성 기반 플랫폼
2. 디지털 트윈 유역 물 관리 플랫폼 구축 기술
- 3D 공간정보 플랫폼: 지형 정보와 시설물 정보에 대한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드론 기술과 헬기 LiDAR 매핑 기술 적용
- 홍수 분석 시뮬레이션: BAS(Big Data, AI, Simulation) 플랫폼 적용
- 물 관리 데이터 연계: 댐 운영 자료, 기상 관측 자료, 하천 계측 자료, CCTV 영상 연계
- 플랫폼 개발
- 하천 인프라 안전성 평가
- 하천 제약사항 조사용 드론 체계 개발: 기존 인력 조사 한계 개선
- AI 지능형 CCTV 분석: 딥러닝 기반 영상 분석
'주간기술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45호(220511)_인공지능 사물인터넷(AIoT)과 블록체인 기술 동향 (0) | 2022.06.18 |
---|---|
2044호(220504)_메타버스 핵심 기반기술 개발 동향 (0) | 2022.06.18 |
2040호(220406)_개방형 스마트홈 연동 표준 매터 (0) | 2022.04.12 |
2040호(220406)_메타버스 기술 및 산업 동향 (0) | 2022.04.12 |
2037호(220316)_초저지연 전송 프로토콜 및 응용 최적화 기술 (0) | 202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