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내용 | 토픽 |
저궤도 6G 위성통신 | - 저궤도 위성은 낮은 고도에 위치, 지상 통신 시 왕복 지연시간이 광케이블 수준인 25~35밀리초에 불과하여 정지궤도 위성과 달리 한 곳을 계속 비추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여러 대 위성을 활용하면 이런 단점 상쇄 가능, 서비스 영역도 대폭 늘어나기 때문에 글로벌 서비스 가능 - 6G 시대 통신 패러다임 부합: 공중 드론, 도심항공모빌리티(UAM), 해상 자율운항 선박 등 음영지역 없는 안정적인 통신망 필수 - 표준화, 핵심부품 개발 기초기술 확보를 위한 선행 연구 수행, 저궤도 위성통신 환경에서 위성망에 접속하기 위한 기술 연구, 3GPP 비지상망(NTN) 표준화 연구, 6G 위성통신 주파수 대역을 고려한 핵심부품 지상검증모델 개발 - Q/V 대역(30~70GHz) 작동 위성탑재용 및 지상 단말용 핵심 반도체 집적회로 개발, Ka 대역(20~30GHz) 반도체 집적회로 개발 → 저잡음 증폭기, 주파수변환기, 고출력 반도체 증폭기 등 6G 위성통신 모듈형 부품에 활용 |
|
AI 반도체 성공 열쇠 MPC | - MPW보다 양산 효율 높고 팹리스 개발비 부담 줄여 글로벌 경쟁력 확보 |
'전자신문 > 2022 전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014_정보 분류기준 (0) | 2022.10.14 |
---|---|
221014_전자신문 (0) | 2022.10.14 |
221012_전자신문 (0) | 2022.10.14 |
221011_국제화 모델 (0) | 2022.10.14 |
221011_전자신문 (0) | 2022.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