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신문/2023 전자신문

230111_전자신문

by StoryTeller. 2023. 1. 11.
제목 내용 토픽
소버린 클라우드 - 데이터 주권(sovereignty)이 중요해지며 공공·금융·통신 부문과 같은 규제산업 고객은 클라우드를 분석, 누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지에 관심
- 데이터 규제가 정착된 유럽을 중심으로 소버린 클라우드 화두 
- 소버린 클라우드: 자주적인 클라우드로 각국 데이터 관련 규정, 법규에 맞춘 클라우드를 구축해주는 개념
- 클라우드 주권: 정의된 국가의 관할 범위에서 클라우드에 대한 법적 통제와 권한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
- 대부분 국가는 주권 경계 내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방법을 규제하는 자체 법률이 있고 계속 변경됨에 따라 소버린 클라우드의 필요성 제기
 
공공SW 대기업 참여제한 제도 개선 - 지나친 규제로 공공 혁신을 저해한다는 비판 지속
- 2020년 SW진흥법 전부개정 시 제도 완화: 신시장 창출, 대·중소기업 동반해외진출 가능한 사업에 대기업 참여 완화, 긴급 장애대응에 필요한 공공SW사업 대기업 참여(하도급) 허용, 대기업이 공동수급인으로 참여 가능한 부분인정제 도입, 민간투자형 SW 사업(클라우드 등) 참여 가능
 
5G-어드밴스드 - 국제 민간표준화기구(3GPP)가 추진하는 18번째 이동통신 표준(릴리즈18)이자 5세대 이동통신의 4번째 진화 기술, 5.5G로도 불림
- 기존 5G의 초연결·초저지연·초대용량 성능을 업그레이드해서 확장현실 기능, 인공지능, 위성통신 접목 등 진화 추진
-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클라우드 기반 업무·엔터테인먼트, 3D·UHD 영상, 산업자동화, 스마트홈, 증강현실, 초당 기가바이트급 전송속도 등 목표
- 5G 대용량 다중안테나(MIMO) 시스템 데이터 성능과 효율성 향상, 커버리지, 전력 소비 등 향상, 통신 지연시간 단축, 무선 머신러닝 프레임워크 확대, 향상된 데이터 수집과 신호 지원을 통해 네트워크 에너지 절약 구현, 친환경 네트워크 실현을 위한 저전력 구현, 차량 사물통신(C-V2X) 신규 주파수와 커버리지 지원, 드론·위성통신 기능을 이통 표준에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