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내용 | 토픽 |
한국형 챗GPT 도입 선결과제는 데이터 법 개정 | - 양질의 데이터 활용이 AI 서비스 품질을 좌우하는 만큼 관련 법안 처리로 국가 산업 경쟁력 향상 주장 - 정보분석을 위한 복제·전송 시 저작재산권 제한 법률안: 정보분석(데이터마이닝)을 위한 저작물 이용 시 저작재산권자의 이용 허락을 받지 않고도 복제·전송하도록 규정 - 디지털 헬스케어 진흥 및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안: 보건의료데이터 활용이 핵심, 헬스케어 분야는 AI기술 접목 활발, 보건의료데이터 가명처리, 빅데이터 연구 활성화 등 지원해 이를 활용한 AI 서비스 개발 |
|
대화형 AI 챗GPT | - 챗GPT는 GPT-3에 강화학습을 적용해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한 GPT-3.5를 기반으로 개발한 챗봇으로 대화에 숨은 맥락을 이해하거나 질문 내용을 기억해 답변에 활용하는 등 단순 정보전달 챗봇과 확연히 비교 - 질의답변뿐만 아니라 번역, 프로그래밍, 논문, 광고문구·소설·노래 가사 등 콘텐츠 제작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작업 수행 가능 - 챗GPT는 생성(Generative) AI의 대표 사례로 생성 AI는 기계 스스로 학습한 알고리즘으로 새로운 글, 이미지, 영상 등을 생성하는 기술 |
'전자신문 > 2023 전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131_CSAP 주요 연혁 (0) | 2023.02.02 |
---|---|
230131_챗GPT, 기존 검색 엔진 차이점 (0) | 2023.02.02 |
230130_전자신문 (0) | 2023.02.02 |
230127_제1차 데이터산업진흥 기본계획 (0) | 2023.01.27 |
230127_전자신문 (0)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