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내용 | 토픽 |
창작이냐 모방이냐, AI 저작권 이슈 | - AI 창작물이 저작권법 보호 대상인 저작물에 해당하는지가 쟁점 - 현행 저작권법에서 저작물이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로 창작성이라는 개념요소를 갖춰야 인정 - 요건은 AI 창작물이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으 표현한 것이냐는 점 - 견해: AI가 창작했더라도 인간이 창작을 주도하고 AI는 수단으로만 사용됐다면 창작물에는 인간의 사상과 감정이 표현되었다고 볼수 있고 저작물로 보호될 수 있다 vs 인간의 개입이 거의 이뤄지지 않거나, 개입의 내용이 사상이나 감정과는 다른 기술적인 내용이라면 저작물로 보호될 수 없다 |
|
지식 생산의 새로운 양식 AI+X | - AI시대 혁명적 전변에 따른 생산양식의 변화: 과학, 기술 등 지식 영역 전환, 교육의 근본적 역할 재편, 경영의 접근법 변화, 노동자의 역량, 일자리 구조 변화 - 새로운 지식 생산의 학습모형 등장, 산업 기술에 인공지능을 접목한 AI+X |
|
금융 게임체인저 | - 챗GPT가 금융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 챗봇, 로보어드바이저, RPA, 마켓 센싱 등 고객 접점부터 후선 업무까지 AI 접목 - 자동화: 데이터 처리 및 거래 모니터링 등 반복·수동적인 작업 자동화로 업무량 감소 - 개인화 서비스 실현: 챗봇으로 문의 사항 해결, 알고리즘으로 개인 성향에 맞는 맞춤형 포트폴리오 제공 - 시장 예측 및 위험 관리 향상: 수많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 잠재 위험 식별 및 예측 - 금융 큐레이터: 상품 설명 및 안내, 상품 판매 유도 - 완전한 구축을 위해서는 자연어 생성, 딥러닝, 딥페이크 등 고난이도 기술 전제 - 정책 측면에서 금융 AI는 민감한 정보를 다루기 떄문에 정보 보호와 보안 필수, 부정확한 정보로 인한 결과의 불공정성과 편향성 해결 필요 |
'전자신문 > 2023 전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215_오픈AI가 투자한 주요 스타트업 (0) | 2023.02.15 |
---|---|
230215_전자신문 (0) | 2023.02.15 |
230213_전자신문 (0) | 2023.02.13 |
230210_전자신문 (0) | 2023.02.10 |
230209_전자신문 (0) | 2023.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