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내용 | 토픽 |
삼성, 한화 AI반도체 양산 | - 삼성 파운드리 응용처별 매출 비중 및 목표 변화: 모바일 비중 축소 (54 -> 33) , 고성능 컴퓨팅(HPC)·인공지능 비중 확대(19 -> 32) - 비전 AI에 특화된 반도체 - 지능형 CCTV등에서 수집한 영상과 이미지 분석하는 반도체, 수요 대응을 위해 성능 고도화한 반도체 개발 위탁생산 |
SoC |
애플페이 동맹 확대 | - 애플페이 표준 수수료 등 글로벌 스탠더드 계약조건과 더불어 카드사 애플페이 인프라 확보 계획 요구 | NFC |
코인 거래 투명성 가이드라인 | - 국내 블록체인 프로젝트 역차별 논란 해소를 위해 유통량 공시 제도 등 거래 투명성 강화 가이드라인 제정 시급 - 국내코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고착화, 투자 외면 |
가상자산 |
EU 데이터 스페이스 | - 국내기업(드림에이스) 최초로 EU 데이터 인프라인 모빌리티 데이터 스페이스 가입 - EU 데이터 스페이스는 공공·민간 부문 데이터가 공통 인프라에 활용되도록 해 역내 자유로운 공유 촉진 목적 - 모빌리티 차량관리시스템(FMS) 데이터를 자동차 인포테인먼트와 사업화해 활용, 실시간 운행 경로, 비대면 관제, 인공지능, 클라우드 기반으로 차량용 운행 데이터 사용, 해외 모빌리티 서비스 업체와 협업, 글로벌 데이터 융합을 통해 맞춤형 모빌리티 특화 서비스 제공 계획 |
|
AI 콜봇 상담 증가 | - AI를 금융서비스에 접목해 실질적 효과를 거둔 고객컨택센터(FCC) 사례 - 콜봇, 챗봇 등 AI를 활용한 상담채널 운영 효율성 증대 - 비대면마케팅, 고객데이터, 클라우드 운영 3개 축을 기반으로 FCC 2.0 프로젝트 수립, 메타버스 컨택센터, VR 상담, 생성형 AI 등 확장 구현 계획 |
|
AI 악용 사이버 공격 급증 전망 | - 피싱 특화 생성형 AI 개발, 랜섬웨어 유포에 AI 활용 등 악용 - 주요 보안 위협: AI를 악용한 사이버 공격, 제로데이를 악용한 랜섬웨어 공격 전략 고도화, 연쇄적 공급망 공격, 다양한 형태의 자격 증명 탈취 증가, 클라우드 리소스 공격 - 피싱 공격에 특화된 웜(Worm) GPT를 비롯, 프러드(Fraud) GPT 등 AI 범죄 악용 사례 등장 - 방어기술 개발에 활용: 챗GPT 특성을 파악해 챗GPT가 작성한 글을 잡아내는 기술이나 AI가 만든 딥페이크·딥보이스를 분별하는 기술 개발 - 대규모언어모델(LLM)을 적용한 플랫폼을 보안 오케스트레이션·자동화·대응(SOAR) 등과 연동해 공격자의 IP 분석 결과를 생성형 AI가 알려주는 형태 |
큐싱(QR코드+피싱) |
양자암호통신 인프라 표준 제정 | - 양자키 분배망 도입·운영 지침 및 활용 사례 표준 제정 추진 - 양자암호통신은 중첩과 같은 양자 역학의 특성을 이용해 도·감청을 허용하지 않는 높은 보안성 제공 - 양자키 분배망은 양자암호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의미 - 표준은 양자키 분배망의 개념 및 구조, 양자키 분배망 도입을 위한 단계별 지침을 기술하며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양자키 분배망 활용사례 제시 |
|
행정전자서명 인증시스템 무중단 유지관리 | - 행정전자서명 인증시스템 및 클라우드 업무환경 운영·유지관리 사업 추진 - 사업은 행정전자서명(GPKI), 전자문서진본확인(GTSA), 정부OTP(GOTP), 복합인증(GMAM), 암호이용(GKMI), 정부SSL(G-SSL) 6개 행정전자서명 인증시스템을 통합 운영·관리하고 서비스 지원 체계 일원화 - 체계적인 서비스 관리로 장애 발생을 최소화하고 시스템 안정성 확보 목표 |
|
딥뷰로 불법 현수막 탐지 | - 딥러닝 기반 AI 기술을 활용해 현수막 설치 영역을 탐지하고, 문자 검출 및 대형 시각언어 모델을 활용한 문자인식으로 현수막 설치 시점과 내용을 인식하는 방법 개발 - 지자체 CCTV 영상 관제 시스템과 연동해 도심 불법 현수막 탐지하는 동시에 내용을 전산화 -> 지자체 업무 효율화 도모 |
딥뷰 |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CDEP) | - 통신 인프라·서비스, 네트워크, 개인정보보호, 디지털 경제의 측정과 분석 등 디지털경제 전반에 대해 논의하는 주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정책 위원회 - 차세대 이동통신, 인공지능, 사이버보안, 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 발전 동향과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 특히 ICT 정책 방향 제시 |
ICT 시사용어 |
'전자신문 > 2023 전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1208_전자신문 (0) | 2023.12.08 |
---|---|
231207_전자신문 (0) | 2023.12.07 |
231205_전자신문 (0) | 2023.12.05 |
231204_전자신문 (0) | 2023.12.04 |
231201_전자신문 (0) | 2023.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