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내용 | 토픽 |
AI에 의존 자동화된 결정 거부 가능 | - 일반인이 인공지능 등 기술을 활용해 사람 개입 없이 이뤄진 완전히 자동화된 결정에 대해 거부 가능 - 완전히 자동화된 결정: 사람 개입이 없으며, 일반 정보가 아닌 개인정보를 다루고, 이를 기반으로 정보 주체에게 내린 중대한 결정 - 개인정보 처리자는 자동화된 결정의 기준과 절차, 처리 방식 등을 정보 주체에게 투명하게 공개 - 정보 주체는 자동화된 결정이 자신의 권리·의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개인정보 처리자에게 설명·검토 요구,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자동화된 결정 거부 가능 → 개인정보 처리자는 해당 결정을 적용하지 않는 조치를 하거나 인적 개입을 통해 재처리하고, 결과를 정보 주체에게 알려야 함 |
|
한국 제안 차세대 보안 6건 국제 표준 승인 | -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TU-T) 정보보호연구반(SG17) 국제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한 신규 표준 과제 9건 승인(사전채택 2건, 최종승인 4건 등 총 6건 표준화 승인) - 국제표준은 신규 표준 과제 승인을 시작으로 표준 개발 → 표준 사전채택 → ITU-T 회원국 회람을 거쳐 최종 승인 - '23.8. SG17 국제회의에서 제로 트러스트,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인공지능 보안 등 차세대 표준화 주제에 글로벌 합의 도출 - 이번 회의에서 제로 트러스트 보안에 대한 교준 과제를 신규 제안해 승인, 첨단항공교통 환경에서의 데이터 보안, 원격 생체 인증 등에 신규 9건 제안, 9건 모두 승인 - 차량용 에지 컴퓨팅 환경을 위한 보안, 비식별화 처리된 데이터의 결합을 위한 보안 등 총 2건의 보안 가이드라인도 국제표준으로 사전 채택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서버 인증,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위한 보안 보증, 지능형교통시스템 통신 디바이스 SW 업데이트 보안, 사물인터넷 기기 및 게이트웨이 보안 등 총 4건의 국제표준이 회원국 회람 후 최종 승인 |
|
저전력 AI 반도체 기술 | - 엔비디아의 최첨단 칩인 A100대비 소모전력은 625분의 1, 칩 면적은 41분의 1로 작은 인공지능 반도체 핵심기술 개발(상보형-트랜스포머) - 에너지 제약이 높은 환경에서도 정확하게 거대언어모델을 구동할 수 있어 온디바이스 AI 구현 등에 활용될 전망 - 상보형-심층신경망은 복잡한 패턴을 인식하고 학습할 수 있는 AI 모델인 심층 인공 신경망(DNN)과 뉴로모픽 컴퓨팅의 한 형태인 스파이킹 뉴럴 네트워크(SNN)을 혼합해 인력 데이터들을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신명망에 할당해 전력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 |
|
데이터 가치 창출 높여주는 데이터 메시 전략 | - 데이터 메시 전략은 모든 이해관계짜의 데이터 접근성을 확대하는 동시에 기업이 추진하는 비즈니스 이니셔티브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치를 최대한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 - 데이터 메시는 데이터의 가치를 가장 잘 규정해 비즈니스에 기여할 수 있는 담당 부서와 실무자에게 데이터 소유권을 넘겨주고 데이터 프로덕트 생산과 제공 책임을 부여, 개별 부서에 맞춘 자율적 데이터 관리 체계를 확립함으로써 비즈니스 요구에 맞는 고품질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활용, 유연한 데이터 거버넌스 및 보안 체계 확보 지원 |
'전자신문 > 2024 전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311_전자신문 (0) | 2024.03.11 |
---|---|
240308_전자신문 (0) | 2024.03.08 |
240306_전자신문 (0) | 2024.03.06 |
240305_전자신문 (0) | 2024.03.05 |
240304_전자신문 (0) | 2024.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