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내용 | 토픽 |
제로 트러스트 통신 기술 및 애플리케이션 접속 제어 | - 보안 요소 식별 계층이 추가된 OSI7+알파 계층 기술 - 제로트러스트 아키텍처 기반 보안(네트워크에 상시 연결된 관문으로 통과하는 보이지 않는 접속을 식별, 불필요한 접속 차단) - 테이터플로 계층 식별: 단말이나 애플리케이션보다 더 작은 데이터 단위를 식별할 수있는 8레이어 식별 기술로 해킹 위협 원천적 차단 - 애플리케이션 플로는 실제로 보호해야할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작동, 평소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지 않은 상태 유지, 사용자별 접속 가능한 애플리케이션과 목적지 네트워크를 지정해 허용하는 방식으로 제로 트러스트 네트워크 액세스 구현 |
|
딥러닝 기반 개인정보 비식별화 | - 딥러닝 기반 비정형 텍스트 내 개인정보 탐지 및 비식별 처리 기술, AI 재현 데이터 생성 기술, 딥러닝 기반 OCR 기술: 조직이 보유한 비정형 텍스트를 딥러닝으로 학습 및 분석해 맥락을 인지함으로써 개인정보 인식 - 기존 비식별 처리 기술은 패턴 기반으로 비정형 텍스트 처리 때 개인정보 오인식 발생 가능성 있음 → 아이디필터에 적용한 기술은 문장·대화 맥락을 인지함으로써 개인정보 인식을 보조, 기존 기술의 단점 보완 가능 - 재현 데이터 생성 기술 적용: 재현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와 유사한 형태의 통계적 속성을 지닌 데이터로 원본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상의 데이터 생성,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량 늘리는 데 효과적 - 광학문자인식 기술: 다양한 유형의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편집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 (특징) AI 기반 정확한 문자 인식, 다각도 이미지 인식, 다양한 이미지 파일 포맷 및 문서 내 이미지 지원, 해상도 처리, 고속 이미지 검출 처리 |
|
스몰셀 | - 주파수 송수신과 데이터처리 등 무선 기지국의 기본 기능은 갖추고 용량과 전파 도달거리를 줄인 무선 장비 - 대형 기지국(매크로셀)보다 낮은 송신 전력과 좁은 커버리지를 가지고 크기가 작아서 공간 효율성 좋음, 실내 매장, 실외 인구 밀집 지역 등에 유연하게 구축 가능 - 초기 스몰셀은 가정이나 지하와 같이 음영지역 해소를 위해 주로 사용됐으나 최근에는 무선 네트워크 용량 증가를 위한 데이터 부스터 목적으로 설치 - 스몰셀은 특히 5G 밀리미터파 처리를 지원하는데 용이, 밀리미터파는 초고속·초저지연 등을 지원할 수 있으나 직진성을 띠고, 벽 등의 물체를 쉽게 통과하지 못하는 성질때문에 데이터가 소비되는 실내에서는 스몰셀을 더 촘촘하게 배치 |
'전자신문 > 2022 전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715_전자신문 (0) | 2022.07.15 |
---|---|
220714_전자신문 (0) | 2022.07.15 |
220712_전자신문 (0) | 2022.07.12 |
220711_전자신문 (0) | 2022.07.11 |
220708_전자신문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