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내용 | 토픽 |
첫 한국형 챗GPT 신경전, 수익 모델 확보 속도전 | - 차별화 기술로 범용성 확대: 초거대 AI 서비스 범용성 확대 가속 - 일상 속 유용한 서비스 발굴: 킬러 서비스로 AI 일상화 주도 |
|
버스 와이파이 700Mbps | - 도로 위를 달리는 버스에서 초고속 와이파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이동 네트워크를 개발, 700Mbps 속도 버스 와이파이와 AR 기기를 활용한 4K 스트리밍 서비스 시연 - 활용 기술: 22Ghz 대역 5G 밀리미터파 주파수로 버스와 기지국을 연결하는 이동 네트워크(MN) 기술, 기지국 밀리미터파가 잘 닿지 않는 위치에서 다른 차량을 연결해 통신하는 모바일 릴레이 기술 - 커버리지가 넓지 않은 밀리미터파 통신은 실제 도로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인식 → (전환) 밀리미터파 활용 이동 네트워크 성능 확인, 향후 활용성 기대 |
이동 네트워크(MN), 모바일 릴레이 |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 - 성장배경: 클라우드 확산과 제도 활성화, 정부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 등 -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는 계약 절차 간소화와 기간을 단축시켜 공공분야 클라우드 확산과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에 기여했다는 평가 -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의 제안요청서(RFP) 공개가 이뤄지지 않다 보니 악용소지가 있다는 지적 → 제도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공급자(기업) 중심에서 수요자(이용자, 공공기관) 중심 제도로 확대 전환, 발전시킬 방침 |
|
AI로 교통난 푼다, SKT 위치분석 리트머스 | - 디지털트윈국토 기반 교통영향평가 지원 모델 사업에 인공지능 기반 위치분석 플랫폼 리트머스 적용, 가상공간 내 예측을 통해 얻은 데이터 활용 - 기지국 위치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이동상태 및 수단 등 위치 지능형 데이터 제공하는 기술로 기지국 품질 개선을 위해 개발한 기술에 AI 기술을 더해 데이터 가공 및 예측을 통해 교통영향평가 지원 모델로 발전 - 통신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교통 및 유동인구 정보 등을 활용해 도로 및 교통정보 생성·검증, 첨단교통시스템(ITS), 스마트모빌리티,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분야에 데이터기반 사업 추진, 수요자 중심 모빌리티 서비스 확대 |
|
DTx와 의료 서비스 패러다임 전환 | - 4세대 치료제, 디지털치료제(DTx: Digital Therapeutics): 치료 효과가 입증된 디지털 기술로 환자의 질병이나 장애를 예방, 관리 또는 치료적 개입을 제공하는 SW 의료기술로 특정 HW에 종속되지 않는 독립적 SW로 구성 - 치료를 위해 메타버스, AI, 빅데이터를 활용하면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해서 획기적인 치료 기술을 발전 도모할 수 있고, AR·VR 기술 활용으로 시공간적 제약이 해소될 수 있다는 점에서 혁명적 의료 기술로 진화 가능 - 법적·제도적 뒷받침 필요 |
'전자신문 > 2023 전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217_기업 디지털 혁신 (0) | 2023.02.17 |
---|---|
230217_전자신문 (0) | 2023.02.17 |
230215_오픈AI가 투자한 주요 스타트업 (0) | 2023.02.15 |
230215_전자신문 (0) | 2023.02.15 |
230214_전자신문 (0)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