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내용 | 토픽 |
이음5G로 스마트공장 이상징후 예측 | - 4.7GHz, 28GHz 대역을 이용하는 이음5G는 업무 생산성 향상을 위해 특정 공간에서 사용하는 5G 통신 특화망 - 이음5G를 기반으로 제조·물류 등 산업현장 솔루션과 서비스 R&D 확대 - 스마트팩토리 예지보전 솔루션 개발: 예지보전은 설비 상태를 파악, 이상징후를 예측하면서 유지·보수하는 과정으로 스마트팩토리의 로봇, 컨베이어벨트 등에 탑재된 모터에서 전류, 온도, 진동 등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공지능으로 분석 → 데이터를 분석해서 이상 패턴을 사전에 감지하고 모터 고장을 미리 진단하는 것이 핵심 - 5G 특화망을 활용해 스마트팩토리 모터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수집·분석 가능, 이음5G는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우수한 보안 등이 특징 - 스마트팩토리 환경구축: 무인항공기(UAV), 무인운송로봇(AGV), 자율주행로봇(AMR) 등 원격 제어/모니터링, 드론배송, 순찰·안내로봇 서비스 개발 |
|
스마트시티 성공 핵심 요건 | - 스마트시티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도시문제의 효율적 해결, 도시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함, 최근에는 기술 혁신 관점에서 지ㄱ속 가능한 혁신생태계 조성에 초점 - 도시의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하는 새로운 사회·경제 지역혁신 플랫폼으로 활용 - 핵심 성공 요인: 공공데이터 활용, 인공지능의 대중화 · 공공데이터는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구현의 핵심 자원으로 축적된 데이터는 AI 고도화를 위한 기계 학습에 활용, 자동화된 도시 데이터 분석 도구를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과 메타버스 등 고도화된 서비스로 확장 가능 · AI 활용은 시민주도형 리빙랩으로 AI 기술을 테스트베드에 적용해서 서비스모델의 수용 의도 등을 파악하며 개선하는 실증 진행 |
|
헬렌 켈러 모먼트가 필요한 챗GPT | - 기호주의 AI와 연결주의 AI는 인공지능의 양대산맥 - 기호주의가 연역적 접근이라면 연결주의는 논리와 무관하게 빅데이터를 구겨 넣으면 최적의 함수가 저절로 드러난다는 귀납적 접근 - 챗GPT는 연결주의 인공신경망에 수많은 문구를 학습해서 귀납적으로 언어모형을 학습 - 언어모형은 기호와 실물의 결합을 떼어낸 채 데이터화한 기호들만의 연결로 구성된 언어계의 독립성을 실증함 → 마음속 생각과 바깥세상 실물은 언어로 표현되고 언어로 소통되지만 언어는 인터페이스일 뿐 생각도 실물도 아님 - 과제: 그동안 컴퓨터 코드에 '물'을 간단히 '물'에 배정(Assign)하는 것으로 충분했지만 언어모형의 성공으로 근원적인 생각과 기호, 실물과 시호 사이의 결합(Binding)이라는 헬렌 켈러 모먼트를 이룰 것인가? |
'전자신문 > 2023 전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220_전자신문 (0) | 2023.02.20 |
---|---|
230217_기업 디지털 혁신 (0) | 2023.02.17 |
230216_전자신문 (0) | 2023.02.16 |
230215_오픈AI가 투자한 주요 스타트업 (0) | 2023.02.15 |
230215_전자신문 (0) | 2023.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