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5G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중요성
사물 인터넷(IoT)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뿐만 아니라 초저지연, 고신뢰성을 보장하면서 대규모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새로운 통신 서비스 요구
2. 5G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개념
- 네트워크 슬라이싱: 동일한 물리 네트워크 하부 구조에서 가상화된 독립적인 논리망으로 다중화를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 5G시대의 대표적인 도구이며 인에이블러
- 목적: 통신 사업자가 다양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 및 맞춤형 운용, 자동화와 신속한 슬라이스 생성 능력으로 다양한 고객에게 동적으로 네트워크 패키지화/리패키지화하는 수단
- 5G 사설망을 기업 맞춤형으로 구축: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독자적으로 사설망 구축이 어려운 기업을 위해 맞춤형 기업망을 5G 통신망에서 저가로 보급할 수 있는 기술
3. 네트워크 슬라이스 템플릿과 타입
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템플릿
- 목적: 네트워크 슬라이스 타입을 특성화하는 표준 속성 리스트 정의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제공자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고객의 유스케이스를 일반화된 속성으로 매핑
- 역할 모델: 통신 서비스 고객, 통신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사업자, 네트워크 슬라이스 고객, 네트워크 슬라이스 제공
- 특성 속성: 슬라이스를 스루풋(throughput), 지연시간,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등 특성으로 표시, 네트워크 슬라이스 고객과 슬라이스 사업자에 독립적으로 정의(성능, 기능, 제어/관리 등으로 분류)
- 유효성, 서비스 지역, 하향 스루풋, 분리 수준, 최대 PDU 세션 수, UE 최대 수, 성능 모니터링(KQIs, KPIs), 성능 예측, 동시 사용,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지원 타입, 우선순위, 패킷 지연 버짓, 패킷 에러율, 평균 윈도, 최대 데이터 버스트 양, 최대 패킷 손실율, 단말 속도, 단말 밀도, 단말 당 상향 최대 스루풋, 사용자 관리 개방, 사용자 데이터 액세스, 인증 등
나. 네트워크 슬라이스 타입
- 고객과 통신사업자의 관계에서 서비스별 다양한 요구사항 지원 및 반영을 위한 개념
- 3GPP: S-NSSAI(단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지원 정보) 정의, STT(슬라이스/서비스 타입)과 SD(슬라이스 식별자)로 구성
- 표준: eMBB, uRLLC, mIoT, V2X 등 표준 STT 포함, SD 미포함
- 비표준: eMBB, uRLLC, mIoT, V2X를 제외한(통신사업자가 자체적으로 정의한) 비표준 STT 포함, SD 포함 또는 비포함
- ITU-U: NSTI(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STT와 SUG(슬라이스 사용자 그룹)으로 구성
- 기본 슬라이스/서비스 타입: eMBB, uRLLC, mIoT, V2X
- 복합 슬라이스/서비스 타입: eMBB+uRLLC, eMBB+V2X 등
'주간기술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호(210908)_미래 모빌리티의 기반, 자율주행차 상용화 동향 (0) | 2021.09.08 |
---|---|
2012호(210901)_엣지-컴퓨팅 웨어러블 기기를 위한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 동향 (0) | 2021.09.01 |
2011호(210825)_반도체 소자 스케일링에 따른 전기적 저항 향상 기술 (0) | 2021.08.31 |
2009호(210811)_초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 동향 (0) | 2021.08.11 |
2008호(210804)_인공지능 기반 시스템 반도체 동향 (0) | 2021.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