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내용 | 토픽 |
정부 전용 초거대 AI 공공서비스 적용 | - 정부 전용 초거대 인공지능을 도입, 복지·민원 등 공공서비스에 적용: 증명서 발급, 세금신고 등 모든 정부 서비스를 하나의 ID, 한 번의 로그인으로 한 곳에서 이용 - 국민·기업이 원하는 데이터를 중점 개방하고 AI·데이터를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 |
|
AI·데이터 시대 디지털플랫폼정부 | - 국민을 위한 정부 구현: 공공서비스 혁신 방점(분산 서비스 연계·통합) - 똑똑한 정부로 발돋움: 부처간 칸막이 해소, 기관 간 공유(DPG 허브) - 민관 함께하는 성장 플랫폼: 전략산업 육성 - 디지털플랫폼정부 혁신역량 지역 확산 |
|
거브테크(GovTech) | - 디플정 핵신 산업 가운데 하나인 거브테크 산업 육성을 위해 수요 및 활용 가치가 큰 공공서비스를 2026년까지 220종 개방 - 거브테크는 정부와 기술 의 합성어로 민관 파트너십 의미 |
|
플랫폼 기업, 챗GPT 접목 활기 | - 플랫폼 기업이 챗GPT를 자사 서비스에 접목하여 이용자 질문에 대한 답변 속도를 높이고 자체 서비스 개선 작업 효율성 증대 - 챗GPT를 결합해 스마트하고 효율적으로 기존 사업을 재편하는 움직임이 있지만 사업을 차별화할 수 있는 방향성이 핵심 |
|
정부, 초거대 AI 키운다 | - 정부가 초거대 AI 주도권 확보를 위해 기술·산업 인프라 구축, 산업혁신 생태계 조성, 범국가 AI 혁신 제도·문화 정착 등 초거대 AI 시대 전제조건인 국민 신뢰 확보를 위해 제도 정비 -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방안: 양질의 텍스트 데이터 대규모 확충, 초거대 AI 한계 극복을 위한 기술개발 추진, 초거대 AI 컴퓨팅 인프라 기술 개발 및 대용량 컴퓨팅 자원 제공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데이터 혁신을 위한 국민 신뢰 확보방안 발표, 마이데이터 확산·정착을 위한 생태계를 조성하고,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최소화 계획 수립 |
★_붙임1_디지털플랫폼정부_실현계획.pdf
1.35MB
'전자신문 > 2023 전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418_사회문제 해결 위한 과학기술계 노력 (0) | 2023.04.18 |
---|---|
230418_전자신문 (0) | 2023.04.18 |
230414_전자신문 (0) | 2023.04.14 |
230413_전자신문 (0) | 2023.04.13 |
230412_전자신문 (0) | 2023.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