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내용 | 토픽 |
의료시스템 데이터 관리체계 | - 표준기반 데이터 관리체계 및 시스템 아키텍처 기술 - 데이터 공유, 활용 기술에 집중: 여러 병원 의료시스템들이 환자 동의하에 데이터를 공유하고 통합·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데이터 관리체계와 시스템 아키텍처 개발 - 향후 기술 사용화 시 환자 의료정보 및 건강 상태를 병원 간 쉽게 공유·활용할 수 있어 의료 서비스 품질이 높아질 전망 - 데이터 관리체계 및 표준화, 개방형 데이터 허브(SODAS), 데이터 거버넌스 시스템 개발 등 디지털 전환 관련 시장경쟁력 제고에 이바지 - 산업 전반 이종 시스템 간 데이터, 시스템 간 실시간 상호운용성과 데이터 파이프라인 자동화에 대한 요구 증가, 대응 표준 기술과 데이터 거버넌스 시스템 개발로 데이터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
공공SW사업 개선 | - 최근 발생한 공공SW 프로젝트 이슈에 대한 다양한 관점: 사업자 역량 부족, 발주기관의 사업관리 부실, 제도 문제(대기업 참여 제한), 부족한 예산 - 원인으로 가장 많이 제기되는 것은 잦은 과업 변경과 그에 따른 기업의 부담 가중 - 최초 예산 편성은 프로세스와 지침이 비교적 명쾌하고 수차례 검토를 거치지만 중간에 변경되는 과업에 대한 예산 책정 프로세스는 지침상 존재하지만 실제 예산 반영을 위한 수립 근거로는 부족(낙찰차액을 활용할 수 있다는 가변적 조건 제시) - 해외 사례: 미국(애자일 방법론 기본 적용 권고, 원가 정산 계약 제도화, 하이브리드 계약방식 허용), 영국(애자일 개발 방법론 기본 지향, 표준 계약서를 만들어 과업 변동성을 고려한 계약 유도) |
|
AI 긍적적 미래 변화, 합성데이터 발전 | - 국내외 빅테크 기업은 데이터의 독점적 가치경쟁력을 간파, 고객 데이터를 수집·분석·활용하는 내부 시스템을 폐쇄적 생태계로 구축, 시장 선점 - 정부는 양질의 데이터 제공을 확대하고 현장의 원활한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마이데이터,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 정부 발주 과제 등을 통해 데이터 기근에 대처 - AI 모델 훈련에 필요한 데이터 확보에는 비용이나 개인정보보호 및 저작권 문제 등 여러 장애물이 존재, 이에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합성 데이터 - 합성 데이터: 실제 데이터의 통계적 특성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통계 모델, 규칙과 제약사항 등을 통해 생성한 인공 데이터 - 합성데이터는 HW·SW 개발 시 테스트 데이터, 데모와 시뮬레이션용 데이터, AI 모델 훈련 데이터, 개인정보 보호로 제한된 데이터 접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 |
230803_공공SW사업 개선.pdf
0.61MB
'전자신문 > 2023 전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807_전자신문 (0) | 2023.08.07 |
---|---|
230804_전자신문 (0) | 2023.08.05 |
230802_전자신문 (0) | 2023.08.05 |
230801_전자신문 (0) | 2023.08.01 |
230731_전자신문 (0) | 202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