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내용 | 토픽 |
다큐브, 말로 하는 업무용 GPT 정부기관 적용 추진 | - 클릭과 터치를 기반으로 하던 전통 UI에서 음성과 텍스트로 소통하는 '업무용'GPT 기반 UI로 금융권·민간기업·정부기관의 업무효율 향상 - 챗GPT로 잘 알려진 생성형 AI 기술을 기업·조직 관리 영역에 적용한 기술로, 이용자의 자연어 질문에 대해 AI가 필요한 답변 가능 - 차별화 부분은 기업 정형데이터를 활용한다는 점으로, 정형데이터는 AI를 고도화하기 위한 긴 학습시간이 필요하지 않음, 답을 생성할 필요 없이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 대한 학습만 필요하기 때문에 빠르게 현장에 도입할 수 있다는 장점 - 챗GPT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실시간성 확보와도 연관, 생성형 AI는 학습된 데이터를 벗어난 최신 데이터를 반영할 수 없어 현재 시점의 데이터를 묻는 질문에는 오답을 내놓는 문제 보완 가능 -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를 학습하지 ㅇ낳고 사용자의 업무 질의에 대한 이해능력 고도화에만 집중, 기업의 중요한 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걱정 없이 AI를 업무에 접목 가능 |
|
시각지능 AI 기술의 목표 | - 사람의 지식 모방, 대상이 변하거나 상황이 변하는 것에 대응할 수 없음(스스로 성장할 수 없음) - 신경망 구조는 사전에 정의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리 정의된 네트워크를 학습하는 구조적 한계를 지님 - 데이터의 변이나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학습 방법 또는 학습 모델의 메타화가 추진되지만 아직 초기 단계임 |
'전자신문 > 2023 전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922_전자신문 (0) | 2023.09.25 |
---|---|
230919_전자신문 (0) | 2023.09.25 |
230914_전자신문 (0) | 2023.09.16 |
230913_전자신문 (0) | 2023.09.16 |
230911_전자신문 (0) | 202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