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내용 | 토픽 |
생성형 AI, 한류 콘텐츠 스토리 제작 활용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와 디지털 기반의 미래 미디어 계획,기획-제작-마케팅·유통 등에 이르는 단계별 AI 접목과 디지털전환(DX)을 위한 기술·서비스 개발 및 활용 등 촉진 - 초거대 AI 기업과 협력해 기획·창작, 촬영·편집 등에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상용화 지원 - 국내 기업이 부족한 이용자 정보로도 경쟁력 있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방안 마련: 데이터 자가 증식 기술, 시청데이터와 통계데이터 등을 결합하는 기술 개발 - 넷플릭스가 데이터 기반으로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디즈니플러스가 신작 흥행 여부를 관객의 표정으로 분석·예측하는 것과 같은 AI·디지털 기술을 지원 - 불법 사이트 신속 대응: AI 기술을 활용, 저작권 침해 의심사이트를 자동 검색하고 대응하는 탐지·채증 기술 개발 추진 |
|
금융권 망 분리 규제, 전면 개선 필요 | - 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혁신 기술을 금융권에서 적극 활용하려면 유연한 정책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 - 금융권 망 분리 제도를 처음 도입할 때와 현재 컴퓨터 환경 및 정보통신기술이 달라진 만큼 이를 반영할 필요성 - 망 분리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지 않은 새로운 기술도 망 분리 기본 원칙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적용이 가능하다고 명시하고 있음에도 예외 기준을 만들어 통제 항목을 명시하고 있음 → 망 분리 정책의 취지를 유지하면서도 글로벌 시장과 기준을 맞추고 서비스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 - 금융권은 디지털 경쟁에 따라 신속하고 민첩한 시장 대응 능력과 혁신기술 및 외부 시스템과 원활한 연동이 가능한 아키텍처 확보 필요, 클라우드 등 혁신기술을 적극 활용할 있는 환경 마련 필요 |
|
생성형 AI, 생산성 높이고 비용 절감, 공공·금융서비스 혁신 | - 일부 국가는 시민GPT를 도입해 시민이 사업등록, 문서검색 등 여러가지 원하는 공공 서비스를 빠르게 이용하도록 지원, 정부가 보유한 공공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하면 대중 서비스 혁신, 개선을 이끌 수 있음 - SK C&C: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객에게 맞춤형 생성형 AI 서비스를 제공해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고자 생성형 AI 토털 케어 서비스 출시, 생성형 AI 접목으로 디지털전환 가속화 예상 - 생성형 AI를 통한 DX 성공을 위해 문화와 의식, 역량변화 중요, 보안 우려 불식, C레벨 지원, 구성원에 실질적 이점을 주는 서비스 제공, 생성형 AI에 걸맞는 사내 인재 발굴 등에 집중 강조 - 네이버클라우드: 보안등급이 높을수록 생성형 AI 도입 비용 증가, 내부 보안등급을 합리적으로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 - 데이터 학습이 AI 역량 결정: 데이터는 각 지역에 있는 사람들이 살아오면서 축적한 정보이기 때문에 여기에는 문화, 역사, 가치관, 교육 등 사회 규범이 함께 녹아있음 |
|
거대언어모델(LLM) | - 대용량의 인간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도록 훈련된 인공지능 모델 - 딥러닝 알고리즘과 통계 모델링을 바탕으로 자연어처리 작업에 활용, 주어진 언어 범위 내에서 정해진 패턴이나 구조·관계를 학습하는 기존 언어모델과 달리 대규모 언어 데이터를 학습해서 문장 구조 문법, 의미 등을 파악하고 자연스러운 대화 형태로 상호작용 가능 |
ICT 시사용어 |
'전자신문 > 2023 전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915_전자신문 (0) | 2023.09.16 |
---|---|
230914_전자신문 (0) | 2023.09.16 |
230911_전자신문 (0) | 2023.09.16 |
230908_전자신문 (0) | 2023.09.16 |
230907_전자신문 (0) | 202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