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신문/2024 전자신문

241110_전자신문

by StoryTeller. 2024. 1. 10.
제목 내용 토픽
대기업 참여제한 완화 - 행정전산망 장애 재발 방지를 위한 종찹 대책에 사업 규모 800억원 이상 공공SW 대기업 참여 허용 내용 담을 예정
- 중견 업계: 강력 반대, 대기업: 400억으로 문턱 낮출 것을 요청
- 정부는 제도 개선 요구와 SW진흥법 개정안 통과 등 현실적 문제, 대·중·소 기업 간 입장차의 여러 요소를 고려해 절충점 - 800억 허용
 
목적기반차량(PBV) - 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 - 사람과 사물, 사회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차별화된 모빌리티, 유연성을 갖춘 맞춤형 설계로 혁신적 차량 경험 제공
- 전략: 전통적인 자동차의 개념을 탈피한 혁신적 PBV 라인업 출시, SW 기반 첨단 기술 적용, 파트너십 다각화를 통한 새로운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
- SDV와 경로, 정보 등 외부 데이터 간 연결성 강화, 디지털 제어와 자율주행 기술 적용, AI 기반 차량 관제와 관리 지원으로 데이터 연결 범위 확대 등
- 자율주행,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로보틱스, 에너지 그리드 등 미래기술과 SDV 전략 연계로 PBV 생태계 조성 목표
 
AI가 자율주행차 승차감·운전방식 조정 - 운전자의 습관, 성향 등을 데이터로 학습한 후 자율주행차에 구현 
- 기존 AI 반도체 기반 자율주행차는 최고 속도 준수, 차선 정중앙 위치, 안전거리 확보 등을 기계적으로 판단
- AI 반도체는 연산의 속도·정확성 보다는 인간 사고와 유사성이 중요, 주변환경을 고려한 인간의 유연한 판단을 위해 뉴로모픽 반도체 제시
- 인간 뇌 구조와 기능을 모방한 인공 신경망 구현에 사용되는 뉴로모픽 칩은 시냅스와 뉴런으로 구성, 뉴런 신호를 받은 시냅스에서 정보를 다양하게 변조하는 것은 물론 정보 처리와 저장을 동시 수행하는 것이 특징
 
생성형 AI, 교육 활용 지침 필요 - OECD, 디지털 교육 전망 2023: 생성형 AI 관련 지침, 규제 등 고려
- 우리나라는 AI 교육진흥법 발의, 국회에서 계류중
- 교육 분야 생성형 AI 도입 관련한 정책 우선순위는 데이터 및 개인정보보호 문제가 1순위로, 생성형AI를 통해 나온 결과의 공정성과 편견 해결 문제, 기술의 정확성 및 신뢰성, 알고리즘의 투명성 등도 주요 정책 과제로 제시
 
위성-스마트폰 직접통신 - 지상 스마트폰과 우주 통신 위성이 직접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
- 위성을 이동통신기지국 또는 중계기와 함께 활용해 위성에서 직접 LTE 또는 5G 통신신호 발사, 이용자는 스마트폰에 별도 장치 설치 필요없이 이용
- 3GPP는 표준 제정 착수: 이통 공산을 지상에 한정하지 않고 위성 통신을 포괄하는 비지상통신(NTN) 표준 개발
- NTN은 5G-어드밴스드 표준을 기지구고가 스마트폰, 위성·지상 통신망 전반에 내재화하는 것이 특징, 5G의 초고속·대용량 성능과 안정적인 이동성을 확보하도록 개발, 스마트폰에서 이용하는 위성통신 품질 향상 추구
ICT 시사용어

 

 

 

 

 

 

'전자신문 > 2024 전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112_전자신문  (0) 2024.01.12
240111_전자신문  (0) 2024.01.11
240109_전자신문  (0) 2024.01.09
240108_전자신문  (0) 2024.01.08
240105_전자신문  (0) 2024.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