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신문/2024 전자신문

240131_전자신문

by StoryTeller. 2024. 1. 31.
제목 내용 토픽
SKT, 6G 주파수 망 구조 연구 착수 - 4GHz 대역 일부, 7~15GHz 대역, 일부 고주파대역을 6G 후보 주파수로 실측 및 시뮬레이션에 활용
- 실측을 통해 이론적 계산치 대비 비가시경로(NLOS) 환경에서의 6G 후보주파수 대역의 전파 성능이 높은 대역으로 갈수록 낮아진다는 사실 확인
- 시뮬레이터 활용해 무선 통신 환경에서 기지국과 주변셀, 다중 사용자 등을 고려해 이통 시스템 성능 예측
- 도심항공교통(UAM), 위성통신과 상공망, 지능형재구성표면(RIS), 인공지능 기반 기지국 성능 향상 기술이 적용된 6G 망에 대한 성능 예측
 
미국, 플랫폼법 무역 합의 위반 의견 표명 - 미국 상공회의소, 플랫폼법에 심각한 결함이 있다고 지적, 한국 공정위가 전체 조문을 공개하는 것과 함꼐 업계와 충분한 논의를 거쳐야 함 강조
- 공정위는 통상 이슈가 제기될 것이라는 비판에도 법 제정 추진 입장 견지
 
딥페이크, 저작권 침해 - EU, 세계 최초로 AI가 생성한 콘텐츠에 워터마크(복제방지무늬)를 의무화하는 법안 통과
- 한국, AI 콘텐츠의 부작용 예방을 목적으로 AI 활용 표기 의무 내용을 담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일부 개정 법률안' 발의
 
의료 혁신, 비대면 진료 제도화 - 정부, 의료법을 개정해 비대면진료를 제도화하고 건강정보 활용 활대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실현 추진
- 진료정보교류 사업 확대: 진료정보교류 체계 구축 시 환자는 진료기록을 전자적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유 가능
- 건강정보 고속도로 사업 강화: 공공·의료기관에 흩어져 있는 진료·투약·건강검진결과 등 개인 건강정보를 손쉽게 조회·저장 가능
- 진료정보교류, 건강정보 고속도로와 같은 인프라를 기반으로 의료 마이데이터 활용도 높이고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 불필요한 중복검사 감소 등 의료서비스 효율화 촉진 기대
 
디플정 핵심은 공공기관 데이터 공유 - 데이터를 수집해도 데이터 상태가 서로 달라 결합과 공유에 한계 → 디플정은 데이터 품질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 획득 단계부터 체계화 추진
- 디플정은 정부 각 부처, 기관이 갖고 있는 데이터를 공유, 활용해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고 더 높은 생산성을 창출할 수 있게 데이터를 모아 활용하는 플랫폼, 초거대 AI 도입으로 공공의 정책 품질을 높이고 초연결 디지털 트윈 구축 계획
 
딥페이크 - 인공지능 기술인 딥러닝과 가짜(페이크)의 합성어로  AI 기술을 이용해 만들어서 진위 여부를 구별하기 어려운 가짜 이미지·비디오·오디오 등을 뜻함
- 딥페이크는 적대관계생성신경망(GAN)이라는 머신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GAN은 AI 모델을 생성모델과 분류모델로 구분하며 각 모델의 학습을 반복하는 과정을 거쳐, 생성모델과 분류모델은 서로를 적대적 경쟁자로 인식하며 상호 발전
- 생성형 AI 기술발전으로 딥페이크 기술은 AI 윤리 논쟁 촉발, 다만 의료 분야에서 딥페이크 영상은 AI가 질병을 학습하고 정확히 진단할 수 있도록 딥러닝하는데 사용, 미디어 업계에서는 특수효과에 활용, 콘텐츠 품질 개선에 기여하기도 하는 등 악용 사례외 활발히 활용되는 기술
 

 

 

 

 

'전자신문 > 2024 전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202_전자신문  (0) 2024.02.02
240201_전자신문  (0) 2024.02.01
240129_전자신문  (0) 2024.01.29
240126_전자신문  (0) 2024.01.29
240125_전자신문  (0) 2024.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