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신문879

241105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SK,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 AI가 다양한 산업과 일상 전반에 스며들면 트래픽 급증 예상,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진화 패러다임 변화 필요 → 통신 인프라에 AI 인프라를 내재화- AI 슈퍼 하이웨이 전략: AI 데이터 센터, GPU 클라우드 서비스(GPUaaS), 엣지 AI 등으로 구성- 엔비디아 최신 칩과 하이닉스 HBM 등 첨단 AI 반도체, 차세대 액체 냉각 솔루션 3종을 비롯해 GPU 가상화 솔루션 및 AI 에너지 최적화 기술 등이 모두 구현된 AI 데이터센터 테스트베드 판교에 다음달 오픈- 미국 GPU 클라우드 기업 람다와 협력해 H100 기반 GPUaaS 출시, 내년 3월에는 국내 최초로 GPU H200 도입 계획 SW 공급망 보안 인재 가뭄- SBOM은 SW .. 2024. 11. 6.
241101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디지털지갑 급성장- 디지털지갑이 주요 금융 트렌드로 빠르게 확산하며 현금 없는 사회 가속 전망- 결제뿐 아니라 신원확인, 기타 자격 증명에도 활용되며 디지털 티켓, 모바일 신부증 등 다양한 자격증명 데이터 전송에도 이용- 디지털지갑 확산세는 오픈뱅킹, 슈퍼앱, QR코드에 힘입어 더욱 탄력- 오픈뱅킹은 금융기관과 핀테크기업이 오픈API 방식으로 결제 기능과 고객 데이터를 제3자에게 공유하는 것을 통칭, 디지털지갑 사업자는 오픈뱅킹을 활용해 계좌 모니터링, 자산관리 서비스, 고객 경험 향상 등 서비스 다각화 - 슈퍼앱은 올인원 모바일 앱으로, 소셜 네트워킹, 전자상거래, 금융, 교통수단 등 광범위한 영역 포함, 디지털지갑 역시 슈퍼앱 전략의 일환으로 빠른 성장- QR코드는 디지털지갑 범용성을 넓히.. 2024. 11. 6.
241031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생성형 AI 전용 보험상품 등장- AXA XL, 기업이 생성형 AI를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보장하는 사이버 보험 공개(생성형 AI 관련 특약 추가: 기업이 자체 생성형 AI 모델을 개발할 경우 리스크 관리를 지원하는 것이 핵심)- AI 시대 새로운 위험: 데이터 오염, 규정 위반, 사용권한 침해 등- 생성형 AI를 학습시키는 과정에서 해킹과 같은 공격으로 데이터가 조작·오염되면 기업은 데이터 정리 및 소송에 소요되는 비용 감수해야 하고, 기업이 AI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법규를 위반하게 될 가능성, 회사가 개발한 AI가 라이선스나 지식재산권이 포함된 자료와 데이터를 활용하는 저작권 침해 발생 가능 웹3.0 포럼- 모바일 신분증, 국가 디지털 전환 출발점: 디지털 아이디는.. 2024. 11. 4.
241030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국가AI컴퓨팅센터 '26년 완공 목표- 국가인공지능컴퓨팅센터에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신경망처리장치(NPU) 대거 도입, 국산 NPU 테스트베드 역할  고출력 UPS 안전체계 개발- 데이터센터연합회, 대용량 고출력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 위험성 평가와 안전기술 개발 사업에 참여, 업계 요구사항을 수렴해서 연구개발에 반영- 대용량 고출력 UPS 위험성 평가와 안전기술 개발 사업은 외산 위주로 사용됐던 대용량 리튬이온배터리 기반 UPS 표준 모델과 안전성 평가 시스템 개발이 핵심- UPS는 갑작스러운 정전 등으로 전원 공급이 불안정할 경우 연결된 전기 장치 작동을 지속, 배터리 열폭주 등에 따른 화재 위험성이 높은 것이 단점 영지식증명- 금융기록 등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보유자.. 2024. 11. 4.
241029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웹캠 취약성 대책 무방비 - 웹캠 대다수가 기본 아이디·패스워드 설정 추정, 해커 공격에 무방비- KISA, 웹캠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 우려 인지, 국가 차원에서 문제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체계 마련 필요  VoNR(Voice over New Radio)- 5G로 음성을 전달하는 기술, 5G SA를 보유한 통신사만 제공가능한 서비스- 기존에는 5G 단말을 사용하더라도 음성 데이터는 LTE망에서 VoLTE 기술로 전달 국가공유데이터 플랫폼- 부처 간 칸막이를 넘어 개별 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공유·분석해 정책 결정에 활용- 대국민 개방, 기관 간 공유 등 목적에 따라 별도로 생성·관리하던 데이터 제공 업무를 데이터 플랫폼으로 통합, 공공데이터포털,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 DPG 허브 등 데이.. 2024. 10. 29.
241028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디플정 허브, KT·네이버클라우드 2개로 구축- DPG 허브를 국산 멀티 클라우드로 구축하기로 한 방침에 따른 방침- 멀티 클라우드는 2개 이상 클라우드를 동시에 활용, 가격과 성능을 최적화하고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등 특정 벤더에 대한 의존성 감소- 장애 대응을 위한 액티브-액티브 체계(평소에도 DR 체계를 가동해서 장애 발생 시 업무 중단 막는 기술) 제안, 백업 클라우드로는 NHN 클라우드 제시- KT클라우드와 네이버클라우드 기능이 동일하게 작동하도록 구현해야함, 특히 국정원의 국가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가이드라인에 따라 방화벽, IDS·IPS 등 필수 보안 서비스를 적용하고 보안관제와 국정원 공통평가 기준(CC) 인증 제품 활용으로 보안성을 높여야 함 → 향후 기술성·안정성·확장성 등.. 2024. 10. 28.
241025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국가 새 사이버보안체계, HW도 포함- 정부, 다중계층보안(MLS) 체계에 서버, 스토리지 등 하드웨어 보안 통제 강화- 국가·공공기관 납품 시 시큐어코딩 등이 의무화되 SW와 달리 프리패스인 HW가 사이버 안보 위협으로 부상했기 때문- 국가 망보안정책 개선 TF는 보안통제 항목에 HW 자재명세서(H-BOM) 포함하는 방안 검토, HW도 국가·공공기관 납품 시 구성 요소, 원산지, 스펙, 제조사 등을 공개하고 철저히 검증하겠다는 취지- 현재 서버와 스토리지 등 HW는 보안 검증 없이 운영성 관련 인증만 거치면 국가·공공기관에 납품, HW에 스파이칩 등 악의적 부품 탑재 여부,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백도어 검증 절차 등 미비하여 HW 보안체계가 무방비 상태 오픈루프- 별도 교통카드 발급 과정 없.. 2024. 10. 28.
241024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한국형 재난안전망, 북유럽 진출- 한국형 재난안전통신모델이 북유럽을 기점으로 글로벌 진출 본격화- 세계 최초로 전국 단일 재난안전통신망(PS-LTE)을 구축한 경험과 기술력을 토대로 해외 차세대 재난망 전환 수요 선점 구상- 한국은 PS-LTE 방식의 기지국의 설치해 미션크리티컬(핵심업무) 단일 통합지휘통신 전국망을 개통하고 MCPTT 체재로 전환 완료, 이를 통해 경찰·소방·지자체가 일원화된 통신체계를 갖추고 정확한 재난상황 파악과 대응 가능  지방세 체납 안내, 카톡 전자송달 도입 분주- 2월 차세대 지방세입정보시스템 개통 이후, 체납 안내를 위한 카카오 알림톡 문자 전송이 사실상 중단되면서(가상계좌번호 부여 방식이 바뀌면서 기존 알림톡으로는 체납 안내가 불가능해졌기 때문) 지자체들이 카카.. 2024. 10. 28.
241023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LG CNS, 이지스자산운용 데이터센터 설립- 3조원 투자 200MW 하이퍼스케일 대규모 데이터센터 설립- 클라우드·인공지능 확산에 따라 데이터센터 시장 규모 급증, 양사는 애플, 구글, AWS 등 글로벌 빅테크 유치 검토 미·영, 데이터 3단계 분류·활용 확대- 정부, 데이터 중요도에 따라 보안 정책을 차등 적용하는 MLS로 국가 사이버 안보 체계 전환, 획일적인 망분리 정책이 인공지능·클라우드 신기술 활용 저해한다는 지적에 따라 데이터를 중심으로 보안 정책 재설계- MLS는 기밀, 민감, 공개 등 3단계로 구분, (기밀) 정보는 비밀·안보·국방·외교·수사 등 기밀 정보와 국민 생활·생명·안전과 직결된 정보 의미, (민감) 정보는 비공개 정보 등 개인·국가 이익 침해 가능한 정보, (공개) .. 2024.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