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간기술동향67

2034호(220223)_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기능 1.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기능(NWDAF) 1) NWDAF(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 개요 등장배경: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수동적으로 관리하던 네트워크 제어 및 운용을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자율의사결정 방법에 따라 완전자동화 방식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지능 기술에 관심 NWDAF: 5G 코어의 네트워크 기능 중 하나로 네트워크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능 제공, 다양한 5G 코어 네트워크 기능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AI/ML과 같은 지능 기술을 통해 데이터 분석, 분석 결과 값을 다른 5G 코어 네트워크 기능들에 제공하여 각 네트워크 기능의 최적화 및 성능 향상에 도움 NWDAF 기능은 AnLF(Analytics Logical Function):.. 2022. 3. 10.
2034호(220223)_차세대 통신 기술 동향 1. 5G 및 6G 특징 2. 차세대 통신 요소기술 1)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 개념: 개방형 API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기반 컨트롤러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 및 관리하는 방식 특징: 네트워크 관리 용이, 효율적 네트워크 구성, 낮은 운영 비용, 처리 속도 향상 가능 구조: 데이터 레이어, 제어 레이어,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로 구성 데이터 레이어: 네트워크 트래픽 전달과 관련된 스위치와 라우터로 구성 제어 레이어: NOX, POX, Beacon, Floodlight 등의 컨트롤러로 구성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SDN 구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포함 2) Massive MIMO 개념: 공간 분할에 의한 다원 접속(SDMA)을 기반으로 시간 및 .. 2022. 3. 10.
2033호(220216)_6G 비전 2022. 2. 16.
2032호(220209)_촉각 인터넷 1. 촉각 인터넷 개념 1) 정의 촉각 인터넷(Tactile Internet)은 사람의 촉각(촉감)을 느낄 만큼 정보를 매우 빠른 속도로 전송하는 인터넷 서비스 1ms의 초저지연과 함께 인터넷의 이용 가용성, 신뢰성 그리고 보안 수준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2) 네트워크 슬라이싱 - 촉각 인터넷의 완전한 지원을 목표로 하는 6G에서 가상화된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플랫폼 역할 수행 2. 촉각 인터넷 역할 원격수술, 자율주행, AR/VR/XR을 포함하는 구동 로봇 공학에서 햅틱 통신까지 실시간 응용을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 제공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인간 대 기계, 기계 대 기계 사이의 실시간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함 원격지에서 터치나 물리적 상호 작용 감각을 가진 AR에 힘을 주어 인간의 실제 몰입.. 2022. 2. 16.
2031호(220126)_5G V2X 1. 5G V2X 서비스 군집 주행(Vehicles Platooning): 차량들이 군집을 형성하여 운행 확장된 센서(Extended Sensors): 차량 간 또는 도로변 장치(RSU) 및 보행자 등으로부터 수집한 센서 데이터 또는 영상 정보를 차량에 제공 고도화된 주행(Advaned driving): 반자율 또는 완전자율주행 원격 주행:(Remote driving): 운전자가 없거나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원격으로 차량 운전 2. 5G V2X 기술 다양한 전송 방식 지원: Unicast, Groupcast, Broadcast 지원 다양한 주파수 및 대역폭 지원: 저주파 대역과 고주파 대역 모두 지원 HARQ(Hybrid Qutomatic Repeat reQuest) 지원: 사이드링크 전송 신뢰성 향상.. 2022. 1. 26.
2030호(220119)_6G 이동통신기술의 도입 전망 1. 6G 기술 도입 배경 현실과 가상세계에서 현장에 있는 것처럼 오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5G 서비스(영상 해상도, 지연시간 등)보다 더 높은 성능을 가지는 6G 기술 요구 6G 기술은 AI 기술과 통신 네트워크가 완전하게 융합하면서 네트워크의 성능이 크게 혁신될 전망 2. 6G 기술 동향 3. 6G 기술 상용화 전망 2022. 1. 21.
2029호(220112)_사이버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및 자동 대응 기술 보안관제센터의 탐지-위협분석-대응 전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보안관제 오케스트레이션(SOAR) 및 대응 자동화 기술 연동/탐지: 이기종 보안 장비 연동 API 및 이상행위 탐지 기술 위협분석/자동화: 빅데이터 기반 전주기적 사이버 보안관제 업무 프로세스를 위한 시나리오(플레이북) 생성 및 자동화 기술 의사결정: 보안관제센터에 특화된 AI 기반 보안사고 대응 의사결정 지원 및 판단 기술 대응: 이기종 보안 장비의 보안사고 자동 대응 기술 실증: 보안관제센터 대상 보안관제 오케스트레이션 및 대응 자동화 기술 실증 2022. 1. 12.
2029호(220112)_스마트팩토리 환경의 사이버공격 및 대응체계 현황 1. 스마트팩토리 대상 사이버 공격 사례 가. 이란 원자력 발전소 제어시스템: 스턱스넷(Stuxnet) 공격 나. 우크라이나 전력시스템: 블랙에너지(BlackEnergt) 멀웨어 공격 다. 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의 생산 설비: 랜섬웨어 공격 라. 세계 최대 알루미늄 제조 시설: 랜섬웨어 공격 마. 솔라윈즈: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 2. 스마트팩토리 보안 대응체계 가. 산업제어시스템 구축 가이드라인 IEC 62443(산업용 통신 네트워크-네트워크 및 시스템 보안) NIST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 KISA 스마트공장 사이버보안 가이드 나. NSA 심층 방어(Defense in Depth: DiD) 2022. 1. 12.
2029호(220112)_차세대 지능형 교통 체계(C-ITS) 기술 동향 1. 차세대 지능형 교통 체계(C-ITS), V2X 통신 가. 차세대 지능형 교통 체계(C-ITS) - C-ITS는 기존의 지능형 교통 체계(ITS)에 협력이라는 개념이 추가된 시스템 - 차량 내 단말기와 노변 장치, 센터 간의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제공, 다양한 객체 간의 데이터 교환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한 상황 대처뿐만 아니라, 교통사고등의 사전 예방 가능 나. Vehicle to Everything(V2X) 통신 2. 동적 정보 시스템(LDM), 고정밀 지도 가. 동적 정보 시스템(LDM): 지도, 차량, 도로상황 등과 관련된 정보들을 규격화하여 표현하는 기술 나. 고정밀 지도(HD Map): 도로뿐만 아니라 도로 시설물(지면 표시, 표지판, 신호등, 횡단보도 등) 교통 서비스에.. 2022.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