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단말 간 직접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의 운용 시나리오 3가지와 활용 분야를 설명하시오.
1. 단말 간 직접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기술의 개요
구분 | 설명 | ||
개념 | D2D 통신이란 기지국 또는 무선 접속 공유기(AP) 등의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단말기 간에 직접 통신하는 기술 |
||
통신 기술 | 면허대역 (Licensed band) |
LTE Direct | Qualcomm에서 제시한 OFDMA 기반의 D2D 기술 |
ProSe | 3GPP 표준 Release 12, 근접 기반 D2D 서비스 | ||
비면허대역 (Unlicensed band) |
Wi-Fi Direct | Wi-Fi 기반으로 AP나 라우터 같은 장비 없이 단말 간 직접 통신하는 프로토콜 | |
PAC | (Peer Aware Communication) IEEE 802.15 표준화 기술 |
- 면허 대역은 보장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주파수 사용이 필요하고, 비면허 대역은 기기 간 간섭의 영향으로 안정된 서비스 제공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호 보완적 운용 고려
2. 단말 간 직접통신의 운용 시나리오 3가지
가. 단말 간 직접통신의 운용 시나리오
- In-network/Out-of-network/Partial network coverage로 구분
나. 단말 간 직접통신의 운용 시나리오 3가지 설명
시나리오 | 설명 | |
In-network coverage |
![]() |
- D2D 단말들이 모두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시나리오 - (프로토콜) 단말의 위치에 따른 시나리오 별 효율적 서비스 지원을 위해 다양한 D2D 통신 프로토콜 설계 1. 동일 망사업자가 운용하는 동일 셀 2. 동일 망사업자가 운용하는 다른 셀 3. 다른 망사업자가 운용하는 다른 셀 |
Out-of-network coverage |
![]() |
- D2D 단말들이 독립적으로 단말 간 탐색 및 통신 수행하는 시나리오 - (프로토콜) 정해진 시간 내에 기지국의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단말 간 동기 절차, 탐색 및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설계 |
Partial network coverage |
![]() |
- 일부 단말은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고 일부 단말이 커버리지를 벗어난 시나리오 - (프로토콜) 커버리지 내부와 외부에 존재하는 단말의 동기 절차 및 상호 간섭 발생 방지를 위한 프로토콜 설계 |
- D2D 단말이 기지국 커버리지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운용 시나리오 구분
3. 단말 간 직접통신의 활용 분야
가. 단말 간 직접통신의 활용 분야
상업용 서비스 | 공공안전망 서비스 |
![]() |
![]() |
- 단말 간 직접통신 활용 분야는 크게 상업용과 공공안전망 서비스로 구분
나. 단말 간 직접통신 활용 분야 설명
활용분야 | 설명 | 사례 |
광고 | - 단말 간 탐색 및 통신을 사용하여 근접 거리에 위치한 D2D 사용자에게 광고 | -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나 할인 쿠폰 등 |
SNS | - 단말 간 탐색을 위해 사용자의 관심사항을 전송하고 탐색을 거친 후 단말 간 통신을 통해 근접 사용자와 콘텐츠 공유 | - 사진, 동영상 등의 콘텐츠 공유 |
공공안전 및 재난망 서비스 | - 공공 안전의 목적을 위해 D2D 통신 기술 사용 - 긴급 상황 또는 자연 재해로 기존 인프라가 파손되어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D2D 기술을 사용하여 인접 단말을 발견하거나 긴급 상황 정보를 사용자들 간에 공유 |
- PS-LTE(재난안전통신망) |
- IoT와 D2D를 결합하여 상호 연결된 무선망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
'기출문제 >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_125_4_5. 무선충전기술 (0) | 2021.09.13 |
---|---|
컴_125_4_4. 이중 모드(Dual mode) (0) | 2021.09.13 |
컴_125_4_3. 데이터링크계층 오류제어 (0) | 2021.09.13 |
컴_125_4_1. 매체접근제어 방식, 경합 프로토콜 (0) | 2021.09.13 |
제125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2021년) (0) | 202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