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데이터링크 계층은 네트워크에서 오류제어를 담당한다.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오류제어방식의 개념과 종류
나. 전진오류수정(FEC)과 검출 후 재전송(ARQ)방식 비교
다. ARQ 방식 3가지
1. 데이터링크 계층 오류제어방식의 개념과 종류
가. 데이터링크 계층 오류제어방식의 개념
-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오류는 데이터단말장치나 통신회선, 전송매체 등의 기계적/구조적 원인에 따라 발생
- 오류가 발생하는 장소나 원인에 따라 적절한 오류제어방식을 사용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 및 처리
나. 오류제어방식 종류
종류 | 설명 |
오류 무시 | - 영문 텍스트나 숫자가 포함되지 않은 간단한 데이터를 취급하는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 |
반향(Echo) 검사 | - 루프(Loop)방식 이라고도 함 - 전송한 데이터와 수신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판단하는 방식 |
검출 후 재전송 (ARQ) |
- 오류가 발생하면 수신 측은 송신 측에 오류가 발생한 사실을 알리고 재전송 요구 - 수신 측은 역채널을 통해 ACK/NAK 정보를 전송 |
전진 오류 수정 (FEC) |
- 수신 측에서 오류가 있음을 발견하면 오류를 검출할 뿐만 아니라 수정도 가능한 방식 -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역채널을 사용하지 않는 장점 |
- 통신 환경이나 전송 데이터를 고려하여 적합한 오류제어방식 선택 적용
2. 전진오류수정(FEC)과 검출 후 재전송(ARQ)방식 비교
가. FEC와 ARQ의 오류제어방식 차이
- FEC는 오류를 수신 측에서 자체적으로 정정하고 ARQ는 송신 측에 재전송 요청
나. FEC와 ARQ 비교
구분 | FEC | ARQ |
오류제어 방식 |
![]() |
![]() |
원리 | 수신 측에서 오류가 있음을 발견하면 오류를 검출 및 오류 자체 정정 | 오류가 발생하면 수신 측은 송신 측에 오류가 발생한 사실을 알리고 재전송 요청 |
장점 | -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 가능 - 전송 지연 없음 - 높은 효율성 |
- 단순한 구조의 장비 사용 - 높은 전송 신뢰성 - 채널 적응 능력 우수 |
단점 | - 잉여 비트에 의한 전송 채널 대역 낭비 - 장비 구조 및 코드 방식이 복잡 |
- 역채널 구성 필요 - 송신 측은 프레임 저장을 위한 버퍼 필요 |
적용환경 | - 무선 환경 | - 높은 데이터 정확도를 요구하는 채널 |
종류 | - Block code - Convolution code |
- Stop and Wait ARQ - Continuous ARQ - Adaptive ARQ |
3. ARQ 방식 3가지
구분 | 설명 | |
Stop and Wait ARQ |
![]() |
|
- 송신 측에서 하나의 블록을 전송하면 수신 측은 오류 발생 여부 점검 후 ACK/NAK 응답 - 수신 측에서 응답을 받은 후 다음 프레임 전송하는 방식으로 효율이 떨어짐 |
||
Continuous ARQ |
Go-Back-N ARQ |
![]() |
- 송신 측에서는 프레임 연속 송신, 오류 발생 시 NAK+오류 프레임 번호 통보 - 송신 측에서는 오류 발생 프레임부터 나머지 프레임까지 재전송 |
||
Selective Repeat ARQ |
![]() |
|
- 송신 측에서는 프레임 연속 송신, 오류 발생 시 NAK+오류 프레임 번호 통보 - 송신 측에서는 오류 발생 프레임만 재전송 |
||
Adaptive ARQ |
![]() |
|
- 전송 효율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 데이터 블록의 길이를 동적으로 변경시켜 전송하는 방식 - 수신 측이 오류 발생률 판단하여 송신 측에 통보, 송신 측은 오류 발생률이 낮으면 긴 프레임, 높으면 짧은 프레임 전송 |
'기출문제 >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_125_4_5. 무선충전기술 (0) | 2021.09.13 |
---|---|
컴_125_4_4. 이중 모드(Dual mode) (0) | 2021.09.13 |
컴_125_4_2. 단말 간 직접통신 (0) | 2021.09.13 |
컴_125_4_1. 매체접근제어 방식, 경합 프로토콜 (0) | 2021.09.13 |
제125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2021년) (0) | 202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