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운영체제 다중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이중 모드(Dual mode) 구조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이중모드 개념
나. 이중모드의 구조
다. 이중모드의 종류
1. 이중 모드 개념
가. 이중 모드 개념
![]() |
이중 모드(Dual mode) 개념 |
다중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자원에 대한 접근을 사용자 모드와 커널 모드로 분리하여 운영체제를 보호하는 기법 | |
보호 링(Protection Rings) | |
자원에 대한 접근 수준을 정의하여 데이터와 기능을 보호하는 메커니즘 - Ring 0: Kernel - Ring 3: Applications(User) |
나. 이중 모드의 역할
구분 | 역할 | 설명 |
사용자 | 보안 제공 | 악의적인 사용자로부터 운영체제 보호 |
장애/결함 대응 | Fault Tolerance 개선 및 성능 향상 | |
시스템 | 장치 보호 | 디바이스 별 드라이버 접근 권한 제어 |
메모리 보호 | 메모리 접근 관리 및 제한 | |
CPU 보호 | 프로세스의 CPU 독점 제어 |
- 이중 모드 구현은 사용자 관점의 안정성과 시스템 수준의 신뢰성 제공
2. 이중 모드의 구조
가. 이중 모드 구조
- 이중 모드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콜 인터페이스, 커널로 구성
나. 이중 모드의 구현 설명
구분 | 모드 | 설명 |
User Application | User mode | - open():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실행 - User mode에서 프로그램 실행 |
System Call Interface |
User mode -> Kernel mode |
- - implementation of open(): 프로세스 실행으로 시스템 콜 발생 - 운영 체제의 커널에 시스템 콜 수행 요청 - Kernel mode로 전환 |
Kernel | Kernel mode | - 커널에서 요청 작업 수행 후 결과 값 반환 |
User Application | Kernel mode -> User mode |
- open() 함수 이후의 프로그램 계속해서 실행 |
- 프로세스에서 실행하는 코드의 유형에 따라 User mode와 Kernel mode 전환(switch)하며 작업 수행
3. 이중 모드의 종류
가. 이중 모드 종류
- 이중 모드는 사용자 모드와 커널 모드가 있고, 하드웨어가 제공하는 mode bit로 구분
나. 이중 모드 종류 설명
종류 | 설명 | 동의어 |
User mode |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코드 실행 - 시스템 데이터에 제한된 접근만 허용되며 하드웨어 직접 접근 불가 - 시스템 콜 수행 시 사용자 모드에서 커널 모드로 전환 |
- slave mode - unprivileged mode |
Kernel mode | - 커널 모드에서 운영체제는 모든 하드웨어 접근 및 제어 가능 - 시스템의 모든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고 모든 CPU 명령 실행 - 일부 명령어는 커널 모드 특권(privileged) 수준에서만 코드 실행 |
- master mode - privileged mode - supervisor mode |
- mode bit = 1: user mode, mode bit = 0: kernel mode
'기출문제 >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_125_4_6. IoT 핵심기술, NB-IoT 동작모드 (0) | 2021.09.13 |
---|---|
컴_125_4_5. 무선충전기술 (0) | 2021.09.13 |
컴_125_4_3. 데이터링크계층 오류제어 (0) | 2021.09.13 |
컴_125_4_2. 단말 간 직접통신 (0) | 2021.09.13 |
컴_125_4_1. 매체접근제어 방식, 경합 프로토콜 (0) | 2021.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