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79

210819_5G+ 융합서비스 확산전략 2023년부터 5G+ 특화도시 구축 5G 서비스 국민/산업 체감 강화: 5G 기반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서비스를 통해 비대면 환경으로 인해 야기된 원격교육 격차 해소와 소상공인 밀집 지역에 기반한 메타버스 마켓 구축 등 추진 민간 자발적 5G 융합생태계 구축: 5G PPP, 민간 주도 28GHz 대역 시범/실증 사업 추진, 특화망 활성화 계획 글로벌 5G 시장 선점: 글로벌 시장에 공급할 수 있는 5G 비즈니스 모델 발굴, 국제 인증 획득 지원 2021. 8. 20.
210818_전자신문 제목 내용 토픽 프롭테크 - 중개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해 전자계약 시스템 고도화, 등기부등본을 블록체인으로 쉽게 열람/인쇄할 수 있도록 하고 공공데이터를 개방하는데 주력 채널진입광고 - 채널진입광고: 특정 시청자가 채널 변경으로 특정 채널에 진입할 때 시청자 맞춤형 방송광고를 노출하는 신유형 채널 광고 - 시청권 침해 보호방안: 채널진입광고 OFF 기능 추가, 광고 시청 여부 선택할 수 있도록 자기결정권 보장, 광고 노출 횟수 제한 시청자 맞춤형 광고 마이 헬스웨이 플랫폼 - 개인 주도로 본인 건강정보를 한곳에 모아 필요한 시점에 원하는 기관에 개인의 건강정보 데이터를 제공하고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 - 의료 분야 마이데이터 도입 기반/체계 마련, 마이헬스웨이 플랫폼 구축, 개인주도 의료.. 2021. 8. 18.
210817_전자신문 제목 내용 토픽 C-ITS - 웨이브, LTE-V2X 동시 실증 추진 고위험 AI - AI 위험을 수준에 따라 분류하고 '용인할 수 없는 위험'을 초래할 AI 시스템 활용 금지, 고위험 AI 시스템은 요구사항 충족 시 허용 · 고위험 AI 시스템: 생체인식, 교육/훈련, 공공 서비스, 법 집행 등과 연관된 AI AI 규제 DNA DB - 불법 촬영물 유통 방지를 위한 표준 필터링 기술과 DNA DB 개발 공공 특징값 데이터베이스 AI 신뢰성 - 핵심요소: 안전, 설명가능, 투명, 견고, 공정 보건의료 데이터 개방 우수성평가 측정 지표 - 보건의료 데이터 보유기관에서 데이터 개방 시, 양적/질적 측면에서 개방 우수성 평가 기준 - 지표: 데이터 양/질적 특성, 데이터 개방 방식, 데이터 개방 환경 등 3개.. 2021. 8. 17.
210817_AI 신뢰성 AI 신뢰기술 개발 3대 전략(설명가능성, 공정성, 견고성) 신뢰성: AI 기술 한계와 내포한 위험을 미연에 해결하고 활용과 확산 과정에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핵심가치 설명가능성: AI가 스스로 판단한 기준과 과정 등을 사람이 이해 가능한 방식으로 제시(설명)할 수 있는 기술 공정성: 데이터/알고리즘의 편향 여부를 판단하고, AI가 변화하는 가치와 규칙을 준수하도록 하는 기술 견고성: AI 알고리즘에 대한 적대적 공격에도 유연하게 대응해 기능/성능 변화 없이 안전하게 동작하는 기술 2021. 8. 17.
210817_DNA DB 표준 필터링 SW, DNA DB로 불법 촬영물 유통 방지 불법 촬영물 유통 방지를 위한 표준필터링 기술과 공공 특징값(DNA)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고 17일부터 배포 n번방 방지법(개정 전기통신사업법)은 일정 규모 이상의 사전 조치 의무사업자에 불법 촬영물 유통 방지를 위한 기술/관리 조치 의무화 사이트 게시 영상물의 DNA를 딥러닝 기반으로 추출하고 특징값을 비교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불법 촬영물 DNA DB오 매칭해 불법 여부 식별 국가 개발 표준 필터링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 필터링 기술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업자를 위해 성능 평가 실시 2021. 8. 17.
2009호(210811)_초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 동향 로직 인 메모리(Logic-in-Memory) AI 프로세서의 개념 - 폰 노이만: CMOS 방식으로 제작, 2진법으로 동작, 연산부와 저장매체가 독립되어 있고 이들 사이를 BUS(정보의 이동 통로)를 통해 정보를 주고 받는 방식, 기본 연산 자체보다 데이터를 이동하는데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매우 낮은 효율성, 심층 인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이 폰 노이만 방식 - 로직-인-메모리: 폰 노이만의 단점을 보완하여 로직과 비휘발성 메모리(소모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가 구조적으로 합쳐직 AI 프로세서 2021. 8. 11.
2008호(210804)_인공지능 기반 시스템 반도체 동향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 반도체 시장 현황 AI 하드웨어 시장은 클라우드 서버 사이드에서 성능을 가속화하는 방향과 스마트 기기 내부에서 인공지능 성능을 지원하는 엣지 디바이스 방향(AI기반 SoC 개발)으로 진행 AI 프로세서 연구는 AI 알고리즘 자체를 압축하는 방식 등을 통해 메모리 대역폭 요구량 자체를 줄이는 기술, 연산량을 줄이기 위해 희소성(Sparsity)을 활용하는 연산기 기술, 연산기 비트 수를 줄이기 위한 낮은 비트 해상도(Bit precision) 변환 기술 등이 이슈 2021. 8. 11.
210811_전자신문 제목 내용 토픽 REC - REC: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RPS) ESG 상생협력법 개정안 - 중소기업 기술탈취 방지,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기술보호 무인 점포 - ICT 기술 발전, 신기술 테스트베드로 활용 -(기술) 키오스크, 인공지능 비전(머신비전), 보안 솔루션, RFID, IoT · 머신비전: AI 기반 동영상/이미지 분석을 통해 고객의 구매 행동을 식별하는 기술, 매장 곳곳에 설치된 3D 카메라와 무게 감지 센서가 고객 동선과 구매 품목 인식 · RFID: 반도체 칩이 내장된 태그, 라벨, 카드 등의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시스템, 제품을 무인계산대에 올려놓으면 부착된 RFID를 자동으로 인식해 결제 진행 - 구매행동 식별 AI, 운영 .. 2021. 8. 11.
210811_상생협력법 기술탈취 모든 분야에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 중소기업 기술보호 역량 강화가 핵심: 대기업의 협력사 기술 보호와 지원 노력 확대, 특허개방과 공동 기술개발 등 기술지원의 다양화는 물론 기술자료 임치지원과 같은 기술 보호도 늘리고 있는 추세 NDA(비밀유지계약) 체결 의무화: 기술탈취 예방 효과 기대 정부의 지나친 규제 일변도 기술보호 방침에 대기업의 활동 위축 및 특허개방 등 개방형 혁신 위축 우려 발생 2021.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