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신문/2024 전자신문222

241030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국가AI컴퓨팅센터 '26년 완공 목표- 국가인공지능컴퓨팅센터에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신경망처리장치(NPU) 대거 도입, 국산 NPU 테스트베드 역할  고출력 UPS 안전체계 개발- 데이터센터연합회, 대용량 고출력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 위험성 평가와 안전기술 개발 사업에 참여, 업계 요구사항을 수렴해서 연구개발에 반영- 대용량 고출력 UPS 위험성 평가와 안전기술 개발 사업은 외산 위주로 사용됐던 대용량 리튬이온배터리 기반 UPS 표준 모델과 안전성 평가 시스템 개발이 핵심- UPS는 갑작스러운 정전 등으로 전원 공급이 불안정할 경우 연결된 전기 장치 작동을 지속, 배터리 열폭주 등에 따른 화재 위험성이 높은 것이 단점 영지식증명- 금융기록 등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보유자.. 2024. 11. 4.
241029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웹캠 취약성 대책 무방비 - 웹캠 대다수가 기본 아이디·패스워드 설정 추정, 해커 공격에 무방비- KISA, 웹캠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 우려 인지, 국가 차원에서 문제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체계 마련 필요  VoNR(Voice over New Radio)- 5G로 음성을 전달하는 기술, 5G SA를 보유한 통신사만 제공가능한 서비스- 기존에는 5G 단말을 사용하더라도 음성 데이터는 LTE망에서 VoLTE 기술로 전달 국가공유데이터 플랫폼- 부처 간 칸막이를 넘어 개별 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공유·분석해 정책 결정에 활용- 대국민 개방, 기관 간 공유 등 목적에 따라 별도로 생성·관리하던 데이터 제공 업무를 데이터 플랫폼으로 통합, 공공데이터포털,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 DPG 허브 등 데이.. 2024. 10. 29.
241028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디플정 허브, KT·네이버클라우드 2개로 구축- DPG 허브를 국산 멀티 클라우드로 구축하기로 한 방침에 따른 방침- 멀티 클라우드는 2개 이상 클라우드를 동시에 활용, 가격과 성능을 최적화하고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등 특정 벤더에 대한 의존성 감소- 장애 대응을 위한 액티브-액티브 체계(평소에도 DR 체계를 가동해서 장애 발생 시 업무 중단 막는 기술) 제안, 백업 클라우드로는 NHN 클라우드 제시- KT클라우드와 네이버클라우드 기능이 동일하게 작동하도록 구현해야함, 특히 국정원의 국가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가이드라인에 따라 방화벽, IDS·IPS 등 필수 보안 서비스를 적용하고 보안관제와 국정원 공통평가 기준(CC) 인증 제품 활용으로 보안성을 높여야 함 → 향후 기술성·안정성·확장성 등.. 2024. 10. 28.
241025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국가 새 사이버보안체계, HW도 포함- 정부, 다중계층보안(MLS) 체계에 서버, 스토리지 등 하드웨어 보안 통제 강화- 국가·공공기관 납품 시 시큐어코딩 등이 의무화되 SW와 달리 프리패스인 HW가 사이버 안보 위협으로 부상했기 때문- 국가 망보안정책 개선 TF는 보안통제 항목에 HW 자재명세서(H-BOM) 포함하는 방안 검토, HW도 국가·공공기관 납품 시 구성 요소, 원산지, 스펙, 제조사 등을 공개하고 철저히 검증하겠다는 취지- 현재 서버와 스토리지 등 HW는 보안 검증 없이 운영성 관련 인증만 거치면 국가·공공기관에 납품, HW에 스파이칩 등 악의적 부품 탑재 여부,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백도어 검증 절차 등 미비하여 HW 보안체계가 무방비 상태 오픈루프- 별도 교통카드 발급 과정 없.. 2024. 10. 28.
241024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한국형 재난안전망, 북유럽 진출- 한국형 재난안전통신모델이 북유럽을 기점으로 글로벌 진출 본격화- 세계 최초로 전국 단일 재난안전통신망(PS-LTE)을 구축한 경험과 기술력을 토대로 해외 차세대 재난망 전환 수요 선점 구상- 한국은 PS-LTE 방식의 기지국의 설치해 미션크리티컬(핵심업무) 단일 통합지휘통신 전국망을 개통하고 MCPTT 체재로 전환 완료, 이를 통해 경찰·소방·지자체가 일원화된 통신체계를 갖추고 정확한 재난상황 파악과 대응 가능  지방세 체납 안내, 카톡 전자송달 도입 분주- 2월 차세대 지방세입정보시스템 개통 이후, 체납 안내를 위한 카카오 알림톡 문자 전송이 사실상 중단되면서(가상계좌번호 부여 방식이 바뀌면서 기존 알림톡으로는 체납 안내가 불가능해졌기 때문) 지자체들이 카카.. 2024. 10. 28.
241023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LG CNS, 이지스자산운용 데이터센터 설립- 3조원 투자 200MW 하이퍼스케일 대규모 데이터센터 설립- 클라우드·인공지능 확산에 따라 데이터센터 시장 규모 급증, 양사는 애플, 구글, AWS 등 글로벌 빅테크 유치 검토 미·영, 데이터 3단계 분류·활용 확대- 정부, 데이터 중요도에 따라 보안 정책을 차등 적용하는 MLS로 국가 사이버 안보 체계 전환, 획일적인 망분리 정책이 인공지능·클라우드 신기술 활용 저해한다는 지적에 따라 데이터를 중심으로 보안 정책 재설계- MLS는 기밀, 민감, 공개 등 3단계로 구분, (기밀) 정보는 비밀·안보·국방·외교·수사 등 기밀 정보와 국민 생활·생명·안전과 직결된 정보 의미, (민감) 정보는 비공개 정보 등 개인·국가 이익 침해 가능한 정보, (공개) .. 2024. 10. 23.
241022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차세대 지방세시스템, 결국 소송전- 발주자인 공공과 수행사 간 갈등이 원만히 해결되지 않아 법적 분쟁, 대형 공공SW 사업을 둘러싼 갈등이 끊이지 않으면서 문제를 해결할 근본적 제도 개선 필요- 소송 주요 내용: 추가 과업에 대한 대가 지급과 지체상금 부당 주장 공공SW 사업 투명성 확보, 과업 변경·추가 대책 시급- 최근 갈등 격화 원인1.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 IT 플랫폼 기업이 고속 성장하며 IT 인력 연봉이 전반적으로 상승, 그러나 사업자가 발주자로부터 받는 금액은 코로나 19 이전에 확정된 금액(확정계약방식)이라 임금 인상분은 사업자 몫, 코로나 19 초기 작업 환경(감염자 발생 시 셧다운)으로 최종 시스템 개통 시기 지연 → 상황에 대한 고려 없이 지체상금을 요구하는 사례가 이어.. 2024. 10. 22.
241021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굿바이 파스-타(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파스-타는 특정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 가능한 플랫폼을 만들자는 취지로 선보인 국산 PaaS- '22년 파스-타 추가 개발 사업 종료, 내년 초에는 기술 지원 최종 종료로 사실상 프로젝트 중단 전망, 해마다 신버전 소스코드를 공개하며 최신 기술을 넙목했지만 정부 주도 사업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한계점 지적- 대신 민간 주도 PaaS 생태계 지원을 위해 K-PaaS 출범, K-PaaS는 개별 기업이 개발한 PaaS와 플랫폼 SW를 대상으로 호환 기준을 통과하면 적합성 인증을 부여 AI 시대 부작용, 폭넓은 공론화로 해법 모색- 토론과 공모전이라는 집중 공론화 과정을 통해 국민들이 디지털 질서 정립에 직접 참여하고 국민 의견을 정책에 적.. 2024. 10. 21.
241018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PNT 서비스 국제표준 주도- 측위·항법·시각(PNT) 서비스 분야 ISO 국제표준화 추진- PNT 서비스는 자동차·선박·철도 등 교통수단이나 주요 물자, 물류, 에너지·자원, 농축임업 생산물 등 이동객체에 적용하는 시간 디옹에 따른 위치 변화를 2차원 및 3차원 경로로 표시하고 이를 저장 관리하는 디지털 이력관리- 정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이나 스마트시티, 항공 및 해양 운송,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 국가간공동망 연동- 금융결제원, 아시아 국가 간 송금·지급결제기관의 금융망 상호 연결 추진- 국가 대 국가로 연계 추진, 개별 은행이 현지 은행과 별도 연결망 구축 방식 대비 향후 서비스 커버리지·범용성 부문에서 큰 장점- 주요 서비스: ATM, 송금, 결제 등 하이브리드.. 2024. 10.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