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신문/2024 전자신문222

240913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25년 ICT 기금 급감- ICT 기금(정보통신진흥기금, 방송통신발전기금) 감소 원인은 주파수 할당 대가, 이통사가 납부하는 할당 대가는 정진기금과 방발기금에 55:45 비율로 편성- 새로운 주파수 수요가 부족한 상황에서 2018년 이후 중저대역 주파수 경매 이뤄지지 않음 → 안정적인 ICT 기금 확보를 위한 정부와 국회 차원의 대안 마련 필요 개인정보시스템 인터넷망 차단조치 완화- 개보위, 인공지능·클라우드 기술 활용을 위해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대한 인터넷망 차단 조치 제도개선(안) 의결- 위험분석을 통해 위험도에 따른 인터넷망 차단 수준을 차등적으로 적용- 개인정보처리자가 내부관리계획에 따라 위험 수준을 구분해 저위험·중위험 컴퓨터 등에 대해 인터넷망 차단 수준 직접 설계(고위험은 차단조치.. 2024. 9. 21.
240912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공공 망분리 완화, 등급별 보안체계 도입- 공공분야에 인공지능·클라우드 확산을 위해 망 분리 정책을 완화하고 새로운 보안체계인 다층보안체계(MLS) 도입- 정보시스템 중요도에 따라 3개 등급으로 분리하고 각각에 맞는 보안체계 적용, 중요 정보 보안은 강화하고 덜 민감한 정보는 활용할 수 있도록 완화- MLS는 국가 전산망을 업무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기밀(C), 민감(S), 공개(O) 등급으로 분류, 등급별 차등적 보안 통제로 보안성 확보하는 동시에 원활한 데이터 공유 달성- 적용절차 5단계: 준비 → C/S/O 등급분류 → 정보서비스 모델링 → 보안대책 수립 → 적절성 평가·조정RMF공공분야에 AES 허용- 그간 '암호모듈 검증제도(KCMVP')에서 국내에서 개발한 암호(SEED, ARIA, .. 2024. 9. 12.
240911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개보위, 딥페이크 대응 개인정보법 개정 착수- 현행법으로 실효성있는 제재가 어려워 딥페이크 음란물 등 신종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딥페이크 특징을 개인정보법 맥락에서 보면 개인정보를 보호해야 하는 근본적 이유 중 하나가 개개인의 정체성과 존엄성, 인격권에 있어 딥페이크를 이용한 성범죄는 사람의 존엄성을 근본적으로 침해하는 사안으로 개인정보 보호 맥락에서 고민할 필요- 망분리 정책 개선 관련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대한 인터넷망 차단조치 제도 개선(안)': 망분리 제도의 가장 큰 한계는 경직성에 있어 데이터 중요도에 따라 차등화된 접근으로 유연성 확보, 인공지능 리스크에 상응해 낮은 것은 더 가볍게, 높은 것은 더 무겁게 관리하는 방향으로 정리 AI-RAN- 무선접속망(RAN).. 2024. 9. 11.
240910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국방부, AI  가이드라인 만든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활용 국방 가이드라인 연구 용역 사업 발주: 국방 분야에서 AI 활용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안전한 AI 확산 환경 조성 목적- 국방 생성형 AI는 40만건의 군 자료를 학습해서 군 사용어 특화번역, 국 내부규정 질의응답, 문서 요약 등 여러 서비스 제 공공시스템 예방점검체계- 행정망 마비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공공마다 제각각인 예방점검 체계를 통일된 기준으로 마련, 배포- 예방점검 유형과 세부 항목 기준 제공해 공공부문 예방점검체계 강화 취지 2024. 9. 10.
240906 전자신문 2024. 9. 6.
240905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서울시, 사이버 안전 도시 조성- 인공지능 기반 사이버보안 종합계획 수립- 목표는 AI 등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해 선제적이고 회복력 강한 사이버 보안체계 구축- 이를 위해 사이버 위협 예방·탐지·대응체계 강화를 통한 정보자원 철통방어, 중단 없는 행정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이버 보안 회복력 강화,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개인정보보호체계 등 마련 계획 디플정 브랜드화- 주요 서비스 성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어려운 개념과 용어 탓에 대국민 홍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판단, 디지털플랫폼정부라는 정부 모델을 브랜드화하려는 논의 시작 2024. 9. 5.
240904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IFA2024- K스타트업, IFA 넥스트 피치 배틀 결선 진출- AI 분야에 진출한 국내 스타트업은 자율주행을 위한 고품질 합성데이터 기술 기업 '젠젠AI', AI 예측기술을 이용해 성공 가능 제품이나 수요 재고량 등을 예측해서 기업 수익을 극대화하는 '임팩티브AI', AI와 소형 로봇으로 지하 파이프라인 이상 징후를 사전에 탐지하는 '모핑아이', 멀티모달 영상분석 솔루션 기업 '피아스페이스'-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이동형 전기차 충전기 '에바', 기후 변화에 대처하는 AI융합기술(AIoT)로 재생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IDB', 에너지 사용·예측 현황 등 에너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솔루션을 제시하는 '한국그린데이터', AI와 음향 요소를 이용해 도로 노면 상태를 파악하고 제설 시스템을 실.. 2024. 9. 5.
240903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모바일 HBM- 서버를 거치지 않고 기기 자체에서 인공지능을 지원하는 온디바이스 AI 구현을 위해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스마트폰에 적용- 모바일 HBM은 서버에 들어가는 HBM처럼 D램을 쌓는 것이 특징, 저전력이 장점인 LPDDR D램을 적층 및 연결해서 메모리의 대역폭 향상 딥페이크 대책 - 딥페이크 기술은 기존 합성 기술보다 고도화, 전문지식 없이도 실제와 구분하기 어려운 음성·사진·영상 등을 생성할 수 있어 피해 규모 확산- 정부는 딥페이크 등 허위 영상물 소지·구입·시청 행위를 처벌하는 규정을 신설하고 딥페이크물 제작유통에 대한 처벌 기준 상향하는 법률 개정 계획- 일반 대중이 AI 생성 콘텐츠를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관련 당국이 적절한 식별 기술을 개발하고, 소셜 미디어 플랫폼.. 2024. 9. 3.
240902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대한민국 스펙트럼 플랜- 스펙트럼 플랜은 세계전파총회(WRC) 등 국제적 표준화 현황을 반영해서 정부가 4년마다 제시하는 주파수 활용 로드맵으로, 미사용 주파수 발굴, 기존 주파수 재배치를 통해 활용도 높이는 방향- 과기부는 5G 주파수 추가 공급 관련 5G 활용이 가능한 총 510MHz 폭 대역과 재할당 주파수 대상으로 본격 검토 시작 국가사이버안보 기본계획- 양자내성암호 개발을 통해 암호체계를 강화하고 공공기관 망분리체계는 '다중계층 보안'으로 전환, 딥페이크를 비롯한 인공지능을 악용하는 가짜 허위 정보 차단을 위해 플랫폼 사업자들 자율 규제도 강화- 부처 공통과제로는 북한의 사이버상 선전·선동에 대한 삭제·차단, 양자내성암호 개발·보급 등 국가 암호체계 강화, 사이버 위협 배후 규명·지목.. 2024. 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