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79

241219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마이데이터 자격 반납 늘어난다- 마이데이터 수익 모델이 불확실한 가운데 비용 부담이 가중되며 자격 반납을 고려하는 사업자 증가- '24년 마이데이터 과금액이 328억원으로 전년보다 인상된 형태로 확정: 트래픽 양 증가와 함께 정기적 전송 의무화에 따른 영향- 마이데이터 과금은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금융회사, 통신사, 전자지급결제대행사업자 등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발생하는 정보전송 비용- 올해 개정된 마이데이터 가이드라인에는 정기적 전송 비용 지불 회피 행위 금지, 단속 강화로 과금액 증가, 마이데이터 본 사업으로는 수익을 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비용만 늘어나 사업을 영위하기 보다 철회를 고려하는 업체 증가 우려 공공SW사업 유지관리비- SW 구축 사업 가운데 '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2024. 12. 26.
241218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챗GPT 검색 개방- 챗GPT 검색 기능은 키워드를 입력하는 구글과 달리 자연스럽게 질문을 던져 검색, 최신 기록이 중요한 정보는 물론 웹을 자동 검색, 멀티미디어 자료와 함께 답변 제공- 챗GPT는 이용자 질문에 따라 자동으로 웹을 검색하며, 이용가가 웹 검색 아이콘을 클릭해서 직접 검색 기능 사용 가능, 답변에는 출처 표시 인천공항서 토스 얼굴인증으로 탑승- 토스, 안면인식 출국 서비스 '스마트패스' 개시- 얼굴입장, 얼굴결제 등 안면인식 기반 서비스 상용화 속도- 스마트패스는 여권 정보, 얼굴 정보, 탑승권 등을 미리 등록해 게이트에서 얼굴 인증만으로 출국장에 들어갈 수 있는 서비스, 스마트패스 전용 줄을 이용하면 심사관이 얼굴과 여권, 탑승권을 확인하는 과정 생략해 훨씬 빠른 입장 가능.. 2024. 12. 18.
241217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정부전용 AI플랫폼 개발 사업자 선정- 범정부 AI 공통기반 구현활용체계 마련 사업 사업자 선정 착수- 정부전용 AI 플랫폼은 문서 요약, 초안 작성 등 기본 업무를 비롯, 공무원의 전반적 행정 업무 지원- 각 기관이 신속하고 쉽게 AI 서비스를 구현하도록 클라우드 인프라 위에서 다양한 LLM과 AI관련 기술 활용 도구를 카탈로그 등 형태로 제공하고 활용 지원하는 것이 핵심- 정부 데이터를 학습한 별도의 단일 LLM 구축 대신 여러 LLM을 자유롭게 활용해서 필요한 서비스를 구현하는 멀티 LLM으로 방향 설정- 초거대 AI 플랫폼은 대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내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운영모델(PPP)로 운영되는 민간 클라우드에서 구현될 예정, PPP 사업자 중심으로 AI와 IT서비스 기업이 함께 참.. 2024. 12. 18.
241216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우주항공청, 클라우드 도입 검토- 우주항공청, 정보시스템 일부를 클라우드로 구축하는 방안 검토 → 종국에는 디플정 허브와 연계, 행정 업무 효율성 향상 목표- 우주항공청은 우주항공기술 등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업무 특성 상 전체 정보시스템을 온프레미스(구축형)로 구축하는 방안 검토 → 정보시스템 중요도에 따라 상 등급에는 온프레미스를, 나머지에는 클라우드를 적용하는 방안 검토- DPG 허브는 디플정 최상위 통합 플랫폼으로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연계·통합·분석, 특히 민간과 공공의 API를 연계해 초거대 AI 등 민간 첨단 기술로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지원- 우주항공청은 N^2SF, 제로트러스트 등 신보안체계 적용할 계획으로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목표 모델을 설계하고, 중장기.. 2024. 12. 16.
241213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미국, AI 신속 역량반 창설- 국방부 최고디지털·인공지능사무국(CDAP)이 관리하는 이 조직은 주요 적국과의 충돌이 발생할 경우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를 위해 프런티어(frontier) AI를 비롯해 AI를 활용한 최첨단 도구를 국방부 전역에 적용- 전투 분야에서는 지휘통제(C2), 의사결정 지원, 작전 계획, 군수, 무기 개발·시험, 무인·자율체계, 정보 활동, 정보 작전, 사이버 작전 등에 AI 활용- 비전투 분야에는 재무, 인적자원, 군수와 공급망, 의료서비스 정보관리, 법률 분석, 조달 절차, 소프트웨어 개발, 사이버보안 등이 AI 활용 대상 공공시스템 구축 사업자, 운영까지 맡는다- 행안부,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구축·운영 지침'.. 2024. 12. 16.
241212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SKT, AI-RAN 얼라이언스 가입- AI를 네트워크에 접목해서 효율을 높이고 혁신 서비스를 발굴하려는 행보- AI-RAN 얼라이언스는 무선접속망(RAN)에 AI·머신러닝 기술을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한 글로벌 연합체- AI for RAN, AI and RAN, AI on RAN 등 3개 워킹그룹을 구성해 연구 활동 전개- 각 그룹은 AI·머신러닝을 활용한 무선망 융합기술, AI무선망에서의 신규 AI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 발굴을 주제로 협업 연구 전개- 무선 네트워크 구조는 기지국과 안테나, 광케이블 조합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지국은 서버와 구조 유사, 서버 역할인 기지국에 AI SW 기술을 결합하면 네트워크 효율 샹상 가능, 이에 더해 GPU, NPU 등 HW까지 결합하면 기지국이 무선데.. 2024. 12. 16.
241211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네이버클라우드, 공공 최대 AI 수주- 생성형 AI 플랫폼을 구축, 한수원 내 단순·반복 업무 효율화 외에도 원전산업에 중요한 품질관리, 방대한 설비 문서 검토·확인 등 핵심 업무에 활용- 한수원 내 도입하는 '뉴로클라우드 포 하이퍼클로바X'는 폐쇄된 사내망에서 최신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 가능, 보안 우려 없이 한국어 특화 생성형 AI 사용가능한 장점소버린AI국가 데이터 표준화 협력 포럼- 데이터 산업법에 따른 데이터의 연계·활용 촉진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거버넌스와 데이터 표준화 추진 방향 제시- 데이터 표준화 지도 구축 방안 논의: 산재된 데이터 표준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검색할 수 있게 하는 일종의 내비게이션 역할을 하도록 표준화 방안 제시, 이종산업간 표준을 동시에 검색가능하도록하고.. 2024. 12. 11.
241210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세계 지자체 AI 도입 바람- 전 세계 지자체, 저출산·고령화 위기에서 AI 도입으로 행정 운영의 효율성 향상시도 - 해외 지자체 AI 활용 사례: (영국 블랙풀) 도로 손상 위치 파악 및 유지보수 우선순위 식별로 연간 100만 파운드 절감, (일본 요코스카) 챗GPT 시범도입, 직원 80%가 업무 효율성 향상 경험, (일본 도요타) 누수 탐지 시스템으로 조사기간 단축·조사위탁 비용 절감 내년에도 사이버 보안 핵심은 AI- 국내외 사이버 보안기업 전망, 개인 맞춤·대규모 피싱 본격화, AI 활용 보안기술 진화- AI 자체를 타깃으로 삼은 공격 본격화 전망: AI 에이전트 의존도 향상뿐 아니라 생성형 AI가 콘텐츠 생성을 넘어 인사관리·마케팅·데브옵스 등 기업 전반에 걸쳐 의사결정자 역할을 할 .. 2024. 12. 10.
241209 전자신문 제목내용토픽정밀지도 데이터 해외 반촐, K공간산업 영토 위협-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발의: 국외 반출 여부를 심사하는 '측량성과 국외반출 협의체'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추가하여 공간정보의 국외 반출 기준을 완화하려는 취지- 해외 빅테크 기업과 자동차 제조사를 중심으로 정밀지도의 해외 반출 확대 요구 증가-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로봇 등 첨단산업에서 공간 데이터가 핵심 자원으로 떠오르는 상황에서 정밀지도의 해외 반출에 신중할 필요 지적- 공간데이터는 각종 센서로 수집된 데이터와 결합해 디지털 트윈으로 발전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로 정밀지도가 GPS 등과 결합하면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로봇, AR, 내비게이션, 자율주행, AR글래스, 배송 등에서 활용 가능 → 지도 데이터.. 2024. 12. 9.